융복합교육에서 미술의 역할과 특성: 교사 FGI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51권
ㆍ저자명 : 김선아
ㆍ저자명 : 김선아
목차
I. 서론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융복합교육을 위한 미술의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V.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융합의 담론 속에서 타 교과와의 관계 속에서 구별되는 미술의 역할과 특성을 중심으로 융복합 교육에서 미술교육의 역할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과
상상력의 학습을 돕는 사고의 도구로서 미술의 특성을 다양한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또
한 이러한 요소들이 교사들의 경험과 언어 속에서 어떻게 서술되고 사용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융복합교육에 경험이 있는 초·중등 교사로 구성된 집단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융복합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로 시각적 사고와 연결 고리라는 주제가 도출되
었으며, 이는 다양한 문헌에서 언급되는 창의적 사고 도구로서 미술의 특성과 연관되어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융복합교육을 실천함에 있어 상이한 교과
교사들 간에 소통할 수 있는 미술에 관한 이해와 언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는 융복합교
육이 현장에서 실행됨에 있어 미술이 보다 가치 있는 사고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초록
In consideration of a range of existing discourses in regard to convergenceeducation, this research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that would distinguish art in relation with other subject matter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wa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art as the thinking tool
that could assist creativity and imaginative learning. To connect the conceptual
discussion with the field, Focus Group Interviews that consiste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ere conducted and analysed. As the result, the theme of
‘visual tool’ and ‘chain link’ was generated. The result manifested that the
teachers’ description of what they would expect from art in convergence education
reflected the creative thinking tools that various literature had proposed. This
research would provide th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ve language that could
facilitate the discussions between art teachers and teachers of other subject matters.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lay the ground in which art could be used a
valuable thinking tool in practicing convergence education in schools.
참고 자료
없음태그
"조형교육"의 다른 논문
- 중학생의 사이버 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미술·도덕과 통합수업 사례: UCC제작 수업을 중심으로22페이지
-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STEAM 실천 가능성26페이지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의 정서적 효과에 관한 연구32페이지
- 환상 기제를 통한 카오 페이(Cao Fei)의 <코스플레이어스(Cosplayers)> 작품 연구23페이지
- 미술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 방향 탐색21페이지
- 미술대학의 미술사 교육에서 이론과 제작의 통합에 관한 탐색30페이지
- 초등교사들이 생각하는 미술교육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연구29페이지
- 앨버트 반즈(Albert Barnes)의 미술교육론: ‘전이(轉移)되는 가치’의 개념을 중심으로20페이지
- 사군자 ‘난(蘭)’ 그림의 다양한 상징성 분석과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19페이지
- 그래픽 패턴(2D)과 오브제(3D)의 결합을 통한 의미 확장성을 실험한 대학 학부 시각디자인 전공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