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관계에 따른 소형주택 선호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5권 / 4호
ㆍ저자명 : 신화경, 조인숙
ㆍ저자명 : 신화경, 조인숙
목차
I. 서 론II. 이론적 고찰
III. 사회적 관계 및 소형주택 선호 분석
IV.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John Donne(1624)의 시 ‘누구를 위해 종을 울리나’(Forwhom the bell tolls)에서는 ‘사람은 누구도 스스로 온전한 섬은 아니다. 모두 대륙의 한 조각, 본토의 일부이다(No man is an island, entire of itself; every man is apeace of the continent, a part of the main)’라는 구절이있다. 여기서 보면 인간의 삶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간은 태어나면서 다양한 관계 속에 놓이게 되고 관계 속에서 나를 확인하고 나와 함께 맺어진 관계에서 생활하게 됨을 지적하고 있다.이와 같이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며,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가족, 학교, 사회 등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관계를 맺고 생활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와 사회 활동은 안녕감 또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며,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 보고 있다(Berkman et al., 2000;Olsen, 1979). Jahn Gehl(1987)은 인간의 활동을 필수활동, 선택활동, 사회활동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활동 주체에 따라, 필수활동과 선택활동은 행위주체가 혼자 행하게되는 단독활동이고, 사회활동은 2인 이상으로 집단을 만들어 발생하게 되는 집단활동을 의미하고 있다. 즉, 인간의 활동은 크게 개인의 단독활동과 집단활동인 사회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활동이론가인 Cantor & Anderson(1999)은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을 하는 사람은 행복하며,다른 사람과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 사회통합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사회적으로 활동이 많을수록 또는 접촉과 만남의 기회가 많을수록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어 인간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회활동을 통해 형성된 사회적 관계는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인 행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인 것이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preference of small house as the social relations of university students.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rom September 24 to October 12, 2012,and the sample consisted of 283 students of the university in Seoul. The social relationship has been surveyed usingmodified life-style indicators. The community spaces and equipment in the small house has been divided into 21community spaces and 3 equipments.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house preference were consisted of the residentialcomments, residence time, resident partner, house size, considered factors of the residence and small house ownership.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The social relationship of respondents were typed as the type ofrelationship oriented (oriented family, oriented friends and neighbors) and type of non-relationship oriented. The socialrelationship of respondents were the type of relationship oriented. 2) The respondents are willing to live in small houses,to live with 1-2 people and after work. When living in small house, they consider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and easeof use amenities. But neighbor relationship is not considered. 3) They are preferred security office, administrative office,home storage, parks and green space.참고 자료
없음"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
-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9페이지
- 한·중 대학생의 주의식과 공간사용방식 비교연구13페이지
- 한옥형 공공건축물의 계획유형과 디자인 특성 - 광주·전남 사례를 중심으로 -10페이지
- 대구시민의 주거이동 요인과 주택선호성향 분석8페이지
- 어린이집 일과유형에 따른 보육실 흥미영역구성 특성9페이지
- 사회취약계층 주택개보수사업 개선방향연구 - 전남지역의 농어촌주거를 중심으로 -10페이지
- 다속성 빅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 추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1인 가구를 중심으로 -14페이지
- 모듈러 건축의 현황과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 사례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8페이지
-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R..8페이지
- 경로당 기능 활성화를 위한 경로당 이용실태 연구 - 경상북도 농촌 경로당을 중심으로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