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나무그림검사의 반응 특성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08
22P 미리보기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나무그림검사의 반응 특성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21권 / 4호
    · 저자명 : 김종희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초록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의 정도에 따라 대학생의 나무그림 반응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남의 S시에 위치한 H대학교 재학생과 경북의 K시에 위치한 D대학교 재학생 213명이었고, 연구도구
    는 자아탄력성 척도와 나무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시기는 2012년 4월 23일부터 5월 21일까지 실시하였으
    며, 나무그림검사의 채점지표는 Koch(1952)와 다카쿄 마사하루(1989)의 해석기준을 구조적 분석28문항과 내용적
    분석 18문항으로 구성하여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과 자아탄력성이 낮은 집단에 따른 나무그림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무의 형식적인 분석에
    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이 화지의 수직, 수평의 위치가 중앙에 그리는 경향이 높고, 줄기 모양은 점점 좁아
    지고, 가지의 형태는 열려있으며, 잎이나 열매가 떨어지거나 떨어지는 정도가 낮으며, 열매가 적고, 뿌리가 드러
    나지 않으며, 옹이가 적고 음영과 수피가 적게 나타났고, 기저선이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나무
    의 내용적인 분석에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이 나무종류는 낙엽수를 그리는 경향이 높고, 나이는 자신과 동
    일함이 높게 나타났으며, 나무강도가 강하다고 표현하였으며, 느낌은 긍정적이라 하였고, 자신의 나무가 마음에
    든다는 경향이 높고,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고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나무그림검사가 대학생들의 자
    아탄력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urports to understand if there is a difference of responses to Baum test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ith different ego resilience. Study subjects are a total of 213 university students from
    H-University of S-city in Chungnam province and D-university of K-city in Kyungbuk province, and study
    tools are the scales of Ego Resilience and Baum Test. The test period was from April 26 through May 20
    of 2013, and the score index of Baum Test adopts those of Koch(1952) and Dakakyo Masaharu(1989) with
    28 questions of structural analysis and 18 questions of content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using
    chi-square test, different responses to Baum test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ith different ego resil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o formal analysis, students with high ego resilience tend to place the
    tree in the center of the drawing paper with tree trunks with the higher the smaller, twigs open, leafs and
    fruits less fallen, no roots exposed, less of nodes and tree barks and shades, and low baseline. Second, as
    to content analysis, students with high ego resilience have a tendency to draw deciduous trees with the age
    as old as the drawer himself or herself, which are hard and positive and look good and healthy.
    Accordingly, it is significant to affirm that Baum Tes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tool to measure the
    degree of ego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