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연구대상 유역
3. 분석 모형
4. 토양침식량 및 유사유출량 분석
5. 결 론
References
초록
유수에 의한 하천 유역과 하천의 토양의 침식 유송 퇴적 현상은 빈번하게 , , 발생한다. 이러한 과도한 현상은 수공구조물
의 안전위협, 홍수범람 등의 자연재해를 가중시킨다. 토양침식에 따른 토사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정
확한 유사유출량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유역특성에 적합한 모형의 선정, 관련인자의 정량적인 산출, 가용
수문자료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측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설마천 시험유역의 강우량, 유출
량, 유사량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유출거동에 따른 토양침식량과 유사유출량을 산정하는데 있다. 그리고 유사전달률 분석
을 통하여 설마천 시험유역의 유사전달률을 제안하였다. 향후에는 타 유역에도 적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토양침식량
및 유사유출량 산정방법의 정형화, 유역 특성별 유사전달률 산정 연구를 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Soil erosion, transportation, and sedimentation by water flow often occur in a stream. This excessive occurrence threatens
the safety of hydraulic structures, and aggravates natural disasters like flood. To prevent soil disaster according to the soil
erosion, it is necessary to predict accurate sediment outflow primarily. Besides, it is very important to choose appropriate
models by basin characteristics, to estimate accurate quantity of related factors, and to acquire available hydrological dat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soil erosion amount and sediment amount according to rainfall-runoff by
using rainfall, discharge, and sediment in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And, it proposed sediment delivery ratio
of the Seolmacheon catchment by result of studying sediment delivery ratio. Hereafter, this study will estimate sediment
delivery ratio by basin characteristics, and formulate the method of estimating soil erosion and sediment outflow in various
conditions by applying the results in other catch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