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ah LSM을 이용한 지표 플럭스 산정 및 한반도에서의 적용성 검토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15권 / 4호
ㆍ저자명 : 장애선, 문희원, 황석환, 최민하
ㆍ저자명 : 장애선, 문희원, 황석환, 최민하
목차
1. 서 론2. 연구 방법 및 기본이론
3. 결 과
4.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지표와 대기간의 에너지 및 수문기상인자들의 교환에 대한 이해는 수자원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기초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Land Surface Mode(LSM)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Noah Land Surface Model (Noah LSM)은 에
너지 방정식과 물수지 방정식을 기반으로 한 지면모형으로 수문기상인자들에 대한 모의가 가능하다. 국외에는 Noah LSM
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사례들이 있으나, 국내에서는 적용사례가 매우 부족하며, 특히 단독으로 Noah LSM을 적용한 사례
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Noah LSM의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남(HFK)과 광릉(GDK) Korea Flux
Network (KoFlux)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모형 결과를 산출하고, 순 복사량, 잠열, 현열의 결과를 관측
자료와 비교·검증하였다. 모형 결과와 관측치를 비교한 결과 회귀분석에서의 상관계수 값이 각 인자 별로 해남은 0.83∼
099, 광릉은 0.64∼0.99로 신뢰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초록
Understanding of the exchange between the water and energy which is happening between the surface and atmosphere is thebasic of studying water resources. To study these, lots of researches using Noah Land Surface Model(LSM) are in progress.
Noah LSM is based on energy and water balance equation and simulates various hydrological factors. There are diverse
researches with Noah LSM are ongoing in overseas, on the other hand not enough study has been done. Especially there is
almost no study using uncoupled Noah LSM in Korea. In this study we used data from Korea Flux Tower in
Haenam(HFK) and Gwangneung(GDK) as forcing data to simulate the model and compared its result of net radiation,
sensible heat flux and latent heat flux with the observation data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Noah LSM in Korea.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comparison results of Noah LSM and observation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value of
0.83∼0.99 at Haenam and 0.64∼0.99 at Gwangneung which means Noah LSM can be trusted.
참고 자료
없음"한국습지학회지"의 다른 논문
- Study on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for Seolma Strea..10페이지
- RCP 시나리오를 고려한 극치통계분석 및 빈도해석13페이지
- 설계 강우량의 재현빈도 변화에 따른 도시유역의 침수특성 분석9페이지
- 강변저류지 월류부에서 월류제 또는 수문 형식에 따른 홍수저감효과에 관한 개략적 연구11페이지
-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고라니의 서식지이용분석6페이지
- 강우시 시설재배지역의 오염물질 유출 EMC 및 원단위 산정12페이지
- 연안지역 포장면 비점오염물질 유출 및 최적관리방안 시설의 선정을 위한 가이던스에 관한 연구11페이지
- 다양한 강우사상에 대응 가능한 침투여과형 기술개발7페이지
- 국내 수질오염사고 현황 분석과 대응 체계6페이지
- 습지보전·관리를 위한 국가 중장기 계획 소개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