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안 갯벌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농도분포와 발생원 평가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15권 / 4호
ㆍ저자명 : 박정환, 이충대, 김진한
ㆍ저자명 : 박정환, 이충대, 김진한
목차
1. 서 론2. 연구내용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
한국어 초록
인천연안 8개 지역 갯벌의 72개 지점의 표층퇴적물과 24개 지점의 주상퇴적물 시료를 2011년 봄·가을 2회에 걸쳐 채취하여,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석유계총탄화수소(TPHs) 및 벤젠-톨루엔-에틸벤젠-자일렌(BTEX)의 시·공간적 농도분포 특
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PAHs 화합물 구성비에 의한 오염발생기원을 평가하였다. 갯벌 전체의 PAHs 평균농도는 95.62 ㎍
/kg으로 조사되었고, 계절별 PAHs 농도분포는 가을철이 봄철보다 낮은 특징을 보였다. 주상퇴적물의 PAHs 농도가 표층퇴
적물보다 높았으며, 주상퇴적물의 상부가 하부보다 높은 농도분포를 보였다. 전체 갯벌의 TPHs 평균농도는 46 mg/kg으로
조사되었고, TPHs 평균농도 분포 양상은 봄철보다 가을철이 현저하게 높고, 표층퇴적물이 주상퇴적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갯벌 퇴적물내 PAHs의 오염발생 기원을 평가한 결과, 장화리 갯벌의 표층퇴적물과 소래 및 옥련 갯벌의 주상퇴적물의
PAHs 배출원은 연소와 석유류기원으로 조사되었고, 나머지 모든 갯벌은 연소기원으로 나타났다.
영어 초록
Samples for estimating concentration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gons(PAHs), total petroleum hydrocarbons(TPHs), andbenzene-toluene-ethylbenzene-xylene(BTEX) were collected at the tidal flat sediments of 8 coastal sites in Incheon, at
seventy-two sampling stations for the surface sediment and twenty-four stations for the sediment core, twice in the spring
and fall in 201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s of seasonal and spatial concentrations of PAHs,
TPHs, and BTEX in the tidal flat sediments. The source origin of PAHs were carried out. The total average concentration
of PAHs in the tidal flat sediment was 95.62 ㎍/kg. The characteristic of PAHs concentration distributions was observe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in the autumn was lower than that in the spring, and higher concentration in the sediment
core than the surface sediment, and greater vertical concentration at the top rather than the bottom in the sediment core.
The total average concentration of TPHs at all sampling sites was in the value of 46 mg/kg. The characteristic of the TPHs
concentration distribution was observe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in the fall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the spring,
and higher concentration in the surface sediment than the sediment core. The possible source of PAHs inputs were mainly
derived from both pyrogenic and petrogenic origin at the surface sediment at Janghwari site and the sediment cores of both
Sorae and Okyeon sites, while the rest sites of study areas originated with pyrogenic combustion.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습지학회지"의 다른 논문
- Study on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for Seolma Strea..10페이지
- RCP 시나리오를 고려한 극치통계분석 및 빈도해석13페이지
- 설계 강우량의 재현빈도 변화에 따른 도시유역의 침수특성 분석9페이지
- 강변저류지 월류부에서 월류제 또는 수문 형식에 따른 홍수저감효과에 관한 개략적 연구11페이지
-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고라니의 서식지이용분석6페이지
- 강우시 시설재배지역의 오염물질 유출 EMC 및 원단위 산정12페이지
- 연안지역 포장면 비점오염물질 유출 및 최적관리방안 시설의 선정을 위한 가이던스에 관한 연구11페이지
- 다양한 강우사상에 대응 가능한 침투여과형 기술개발7페이지
- 국내 수질오염사고 현황 분석과 대응 체계6페이지
- 습지보전·관리를 위한 국가 중장기 계획 소개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