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20권 / 1호
· 저자명 : 김인수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IV.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인 교대3학년학생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에서 능력 믿음과 관계-추론 효능감과 자기
효능감, 노력, 운동수행 간에 구조적 관계를 인과분석으로 밝히는 것 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계-추론 자기효능감, 고정믿음과 증가믿음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자기효능감과 노력, 운동수행을 내생변인으로
한 인과모델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G 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G교육대학교 3학년 242(남:87, 여:155)
명으로 이들은 편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해 선정되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성별 간에는
증가믿음, 자기효능감, 수행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과모델의 전반적 지수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전반적 지수가(Q=2.84, GFI=.94, TLI=.93, CFI=.91, RNSEA=.05)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 지수를 분석한 결과 관계-추론 자기효능감과 자기효능감 간 경로, 고정믿음과 자기효능감 간 경로, 증가믿
음과 자기효능감 간 경로, 증가믿음과 노력 간 경로, 관계-추론 자기효능감과 운동수행 간 경로, 관계-추론 자기효
능감과 운동수행 간 경로, 증가믿음과 운동수행 간 경로, 자기효능감과 운동수행 간 경로, 노력과 운동수행 간 경
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tructure relationships among implicit beliefs, self-efficacy, effort
and performance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set up a causal relationship model
which is composed of exogeneous variables as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entity beliefs and incremental
beliefs and endogenous variables as self-efficacy, effort, and performance. The subjects are 242(Men: 87,
Woman: 155)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who live in G city now. This study used the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Jackson et al., 2012), implicit beliefs(Park and Kim, 2010), self-efficacy(Pintrich et
al., 1971), effort sclale(Ryan, 1982) and performance which is evaluated as jump rope. By the using ttest, men
show higher incremental beliefs,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than those of women. By using the analysis
general index, this causal model is proved because Q=2.84, GFI=.89, TLI=.87, CFI=.91, RNSEA=.10.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are significant pathe of RISE ? self-efficacy, entity beliefs ? self-efficacy, incremental
beliefs ? self-efficacy, incremental beliefs ? effort, RISE ? performance, incremental beliefs ? performance.
self-efficacy ? performance, effort ? performance.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