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호회 참여 활동 중년의 스트레스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웰니스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웰니스학회지 / 9권 / 2호
ㆍ저자명 : 장호일, 김정모, 신정택
ㆍ저자명 : 장호일, 김정모, 신정택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Ⅵ.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등산 동호회 활동에 참가하는 중년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등산 활동에 참여하는 40세~60세의 중년 25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측정도구는 스트레스 대처 검사지, 삶의질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와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결과,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에서 소망적 대처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질에서는 육체적 기능제한, 정신건강, 건강인식, 생활 활력 및 피로정도 요인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기간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에서는 정신측면의 역할장애, 육체적 기능장애 요인에서 ‘1년 이상~2년 미만’ 집단이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1년 미만’ 집단보다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시간에 따른 삶의 질 차이에서는 육체적 기능제한, 생활 활력 및 피로정도 요인에서 ‘5시간 이상~8시간미만’ 집단이 ‘3시간미만’, ‘3시간 이상~5시간미만’ 집단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등산 활동에 참가하는 중년들의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인 문제중심 대처는 삶의 질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사회적지지 대처는 신체적 통증, 정신적 역할장애,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망적 대처는 건강에 대한 인식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적 대처는 건강에 대한 인식에대해서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life quality of middle age peopleparticipating climbing activity. The participants were 254 middle age people participating climbing activity and explained thepurpose of this study and contents of the inventories. The inventories used in this study were stress coping strategies inventoryand SF-36 life quality invent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ly, female had more hopeful coping strategy level thanmale. Secondly, male had more physical function, mental health, general health and vitality factor than female. Thirdly, ‘1-2 yearclimbing career group’ had more physical function and role limitation emotion factor than ‘less than 6 month group’ and ‘6month- 1year’ group. Fourthly, ‘5-8 hour in participation time’ group had more physical function and vitality factor than ‘lessthan 3 hour participation time’ group and ‘3-5 hour in participation time’ group. Fifthly, problem focused coping strategy hadpositive on all sub-factors of life quality, whereas hopeful coping, emotion 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coping hadnegative on life of quality.참고 자료
없음"한국웰니스학회지"의 다른 논문
- 중·고강도 유산소 운동이 인슐린저항성, 면역기능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12페이지
- 운동과 칼로리 제한에 따른 비만유도 쥐의 Sirtuin과 심부온도 변화에 관한 연구9페이지
- 요가운동과 밴드운동 수행이 노인여성의 염증지표 및 노화호르몬에 미치는 영향12페이지
- 시합기 복합훈련프로그램이 남자 국가대표 알파인 스키 선수들의 무릎관절 근력에 미치는 영향9페이지
- 비만 청소년의 유도수련활동이 PAPS 건강체력 및 염증반응인자 TNF-ɑ, IL-6에 미치는 영향10페이지
- BCAA 섭취가 신장성 운동 후 근육 손상 지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9페이지
- 12주간의 탄성밴드 운동이 고혈압 노인여성의 동맥맥파속도에 미치는 영향9페이지
- Barriers and Motivators to Technology Use among Older A..16페이지
- 여가스포츠로써 피겨스케이팅 참여자의 운동동기 탐색 : 참여요인, 지속의도요인14페이지
- 무용전공별 스트레스, 우울, 식이태도의 관계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