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건의료 영역에서 가장 만연해 있고 환자 및 가족을 비롯한 의료현장에 많은 도전
을 주는 큰 건강문제는 만성질환이다(윤현숙?김연옥?황숙연, 2011; Lubkin & Larsen, 2012).
특히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에서는 약 90%가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이 있으며(이윤환, 2012),
미국 노인 인구의 35%는 일상생활에 제한이 있을 정도로 신체 및 인지기능에 장애가 있어
가족이나 친척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dministration on Aging, 2012). 이러한
장애의 주요 원인이 되는 뇌졸중 유병률은 60대 이후에 증가하여 노인 1,000명 당 60명 이
상이 뇌졸중환자이다(대한뇌졸중학회, 2012). 치매는 2011년 미국 노인 8명 중 1명이 치매환
자이며(Alzheimer's Association, 2012), 국내에서도 65세 이상에서 유병율이 약 10%이며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치매와 뇌졸중은 모두 상당한 장애를 수반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의 주요 질환 중 70% 이상을 차지한다(보건복지부, 2011). 치매는 가족의 돌봄스트레
스가 가장 높은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고(Ory et al., 1999), 뇌졸중은 갑작스러운 환자의 기
능 제한이 발생하며 이에 대한 재활치료에 환자와 가족의 적응이 이슈가 되어, 보건의료현
장에서 치매와 뇌졸중환자 가족에 대한 개입연구들이 전체 노인 만성질환자 가족개입 연구
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만성질환 중 신체와 인지기능의 손상으로
가족의 돌봄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대표적인 질환인 치매와 뇌졸중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