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4권 / 1호
ㆍ저자명 : 유영미
ㆍ저자명 : 유영미
목차
Ⅰ. 서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학업성취의 성별 격차에 관한 많은 연구 결과는 여학생이 과학을 기피하고 성취가 저조하다는 사실을 문제로 인식한다. 과학과 관련하여 여학생들의 성취가 저조한 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현대의 산업기술사회에서 과학은 직업과 관련된 다양한 계열과 코스를 선택하는 기본적 요건이 되며, 궁극적으로는 직업선택의 관건이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여학생의 학업성취에 주목하여 과학에서 여학생의 저조한 학업성취 원인이 일차적으로 과학교과서에 있음을 가정한다. 즉 과학교과서가 남성중심적으로 편성·조직되고 성별 지배이데올로기가 내재되어 있다면, 여학생은 과학교과에서 흥미를 느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남학생에 비하여 낮은 학업성취를 보일 수밖에 없다.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8권, 중학교 과학교과서 6권,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18권 등 총 32권을 연구자료로 하여 과학교과서에 내재된 성별 지배이데올로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과학교과서의 편찬 과정에 참여한 편찬자들은 성별 분포에서 남성편중적이었다. 둘째, 과학교과내용의 영역 및 주제는 성별 선호성에 비추어 남성중심적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과학교과내용의 사례 및 용어는 성별 편향적으로 조직되었다. 넷째, 과학자 소개 및 성인남녀의 모습을 통한 성역할 모델은 편파적이거나 성정형화되고 있다. 다섯째, 남녀 학생의 과학적 활동과 그에 따른 성역할 사회화를 통해 남성 주도/여성 보조라는 성역할 분담을 전수하고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ssumes that science textbooks are the cause of women's inactive achievement inscience textbooks which give the first consideration to men. That is why women have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compared with men.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in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and then searches gender unequality. To analyze these issues, with 8 volumes of elementary
school's science textbooks, 6 volumes of middle school's science textbooks and 18 volumes of high
school's science textbooks, I analyzed contents about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The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textbook compilation appeared in
gender inclination. Textbook compilers' gender distribution was masculinity and at the compilation
moment, men who are from all facilities such a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mpiled textbook with inclination. Second, textbook contents were selected out
masculinity by gender preference. Textbook contents are field and subject of science, those are
adequate to men's concern and interest. Third, in curriculum system, according to the example of
experiment observation, an phraseology of gender meant different meaning by every sentence. Forth,
role models showed masculinity with male scientists introduced in textbooks and the different role of
man and woman in the picture. Fifth, in transmitting gender role, according to scientific activities in
the picture and illustration, scientific activities were differently shown between man and woman and
focused in masculinity in role allotment.
In a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thesis show that sincere educational equality starts from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refore the cause of gender unequality in education can be argued with a
variety of ways but perfect gender fairness is accomplished from textbooks as basic material in
schoo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