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변화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 금연행위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ㆍ수록지정보 : 미술치료연구 / 21권 / 3호
ㆍ저자명 : 김보현, 김택호
ㆍ저자명 : 김보현, 김택호
목차
Ⅰ. 서 론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변화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금연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통합변화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개발 단
계에 따라 목표를 수립하고 통합변화모델의 주요요인인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요인과 집단미술치료를 근거로
내용을 구성하여 전문가집단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G지역 D고등학교 흡연청소년 중 남학생 37명
(실험집단 22명, 대기집단 15명)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본 프로그램 9회기와 집단미술치료 추후 프로그램 3
회기를 2013년 8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실시하였으며, 효과검증을 위해 흡연지식, 흡연의사결정균형, 흡연자기
조절효능감, 금연행위변화단계, 소변코티닌, 호기중 CO량 측정하였다. 이에 밝혀진 주요한 결과는 인지적 요인
의 흡연지식과 행동적 요인의 금연행위변화단계, 소변코티닌, 호기 중 CO량 측정, 동기적요인의 흡연의사결정
균형인 흡연손실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흡연이익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흡연자기조
절효능감은 집단 간에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변화유지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통합변화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흡연청소년들에게 학교현장 및 청소년 관련된 현장에 지속적
으로 제공한다면 금연행위변화와 금연행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중재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
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강과 삶의 질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eenagers who smoked based onthe integrated change model and to verify its effects on their smoking.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goals set according to development steps and proper contents developed based on cognitive, synchronous
and behavioral factors, and reasons of the therapy, and the contents were verified by exper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 male students who smoked(22 of experimental group and 15 of control group). They
agreed to this study and they were from D high school in G province. With the exception of 15 research
subjects in a control group, the study offer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22 research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nine sessions and three follow-up sessions performed between August 2013 and
October 2013.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knowledge regarding smoking, smoking
decisional balance, self-regulation efficacy in smoking, non-smoking behavior change phases, urine cotinine,
and the amount of CO in breath were measured. The key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n smoking in cognitive factor, non-smoking behavior change phases, urine
cotinine, and the amount of CO in breath in behavioral factors, and smoking loss of smoking decisional
balance in synchronous factor between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moking
gains between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efficacy in smoking between
groups while differences were not consistently maintain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suggested that
a group art therapy using integrated change model is effective in changing behavior. It is expected that if
this group art therapy is applied consistently for schools and adolescents, the health and life quality of
adolescents young people can be positively changed.
참고 자료
없음태그
"미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
- 경계선 성격장애 미혼여성의 정서조절과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사례연구26페이지
- 자매 상호작용중심의 미술치료가 자매의 우울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23페이지
- 우울과 자살 생각 고위험군 여고생을 위한 인형 만들기 중심의 미술치료 사례 연구22페이지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19페이지
- 해결중심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20페이지
- 집단미술치료가 불안정애착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22페이지
- 미술치료사의 전문가 되기 여정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26페이지
- 청소년의 발테그 그림검사(WZT)와 MMTIC 성격유형간의 관계21페이지
- 초등학생의 인지평가도구로서의 LMT에 관한 연구17페이지
- 유아의 정서 및 행동 문제에 관한 미술치료연구 동향 분석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