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동시대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 이미지 연구 : 홍위병을 재현한 탠타이?과 후커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48권
ㆍ저자명 : 이영일
ㆍ저자명 : 이영일
목차
I. 서론: 끝날 수 없는 대화, 문혁과 중국동시대미술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II. 익숙한 낯 설음, 그 앱브젝트한 대상
Ⅲ. 싸아핑공원의 홍위병 묘지와 탠타이?(田太?)의 작품에 대한 분석
1. 파국으로서의 역사현장과 타자로서의 홍위병
2. 탠타이?의 작품에 대한 분석
IV. 후커(胡柯)의 작품에 대한 분석
1. 작품 시리즈에 대한 분석
2. 작품 시리즈에 대한 분석
V. 결론: 애브젝트와 중국동시대미술의 경계
※ 참고문헌
※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문화대혁명시기 정치적 대중운동을 상징했던 홍위병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삼은 탠타이?과 후커의 작품을 동시대 미술의 주요개념인, ‘애브젝트’를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대혁명 이후로 중국미술에서는 홍위병관련
작품이 상당히 많이 등장했는데, 크게 보아 두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70년대 말
80년대 초 국가가 주도한 문혁비판운동의 맥락에서 출현한 거대담론적 성격의 작품
들2), 그리고 그것과 대별되는 90년대 이후, 개인적인 시각에서 비판하고 해석하는 미
시담론적 성격의 작품들3)이 그것들이다. 필자가 분석할 탠타이?(田太全)과 후커(胡
柯)는 두 번째 범주에 속하는 작가들로, 최근 들어 중국 내부와 밖에서 활발한 활동
을 하고 있는 대표적 작가들이다. 또한 두 예술가는 모두 ‘애브젝트’라는 미적 개념
안에서 유사성과 차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애브젝트에 대한 보다 풍부한 논의를 제
시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 초록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cotemporary Chinese art by using “abject” andTai-Quan Tian’s and Ke Hu’s products whose motifs are mainly about the images
of Red Guards as symbols of the political mass movement in Cultural Revolution.
According to what the writer has found out, the border between the shape of an
“abject” image and other object is not clear, and I can my inquiry about the
collision of the meaning of the segmentation line. At the same time, the literature
shaped image appearing as contemporary Chinese art is a single mark that reveals
the Chinese contemporary art; also it exposes a symbol of the Chinese people’s
trauma.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contemporary Chinese art reenacted the
Red Guards is because the cultural/ aesthetical concept of the same age interlocks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color of the same age is very deep. Using
contemporaneous cultural criticism analysis, based on the definite object this
detailed research is a reason about the conflict between the abstract aspect and the
definite object.
In conclusion, the writer would like to state about the language of molding
and art. The lengthening of the language of molding’s border line is how to
expose the “abject” brought up in the beginning of this article, and it also exposes
the inability and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reenacting system.
참고 자료
없음태그
"조형교육"의 다른 논문
연구자 작품 ‘Past & Cast’ 연작의 복제이미지 기법에 대한 알레고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30페이지
무위적 예술사상의 예술교육적 함의: 미술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이론적 탐색26페이지
건축?실내디자인관련 전공학생들의 전공인식과 직업의식 그리고 진로에 대한 현황28페이지
비판적 교육학에 근거한 비판적 시각 문해교육24페이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에서 인성교육 적용 방안24페이지
아동미술활동에 내재된 탐구활동의 통합적 사고작용에 관한 연구 : 듀이 예술론의 질성적 사고를 중심으..33페이지
미술과에서의 성취평가제 적용 방안31페이지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로서의 시각적 은유와 내러티브 사고에 기반한 초등..32페이지
박물관·미술관 창의적 체험활동의 현황과 활성화방안 : ‘박물관·미술관 창의적체험활동사업단 운영사업’..35페이지
미술관 관람객과 도슨트 간의 담화분석을 통한 상호작용적 학습경험 연구3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