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화의 문화적 상징을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선 민화와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 비교를 중심으로 -

1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9.01
17P 미리보기
회화의 문화적 상징을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선 민화와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 비교를 중심으로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교육 / 33권
    · 저자명 : 양민영

    목차

    I.서론
    II.미술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
    III.조선 민화와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의 상징성
    1.작품 제작의 시대적 배경
    2.조선 민화와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의 상징성 비교
    3.상징성 비교의 다문화 미술교육의 의의
    IV.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1.수업 대상 및 학습목표,차시별 계획
    2.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차시)
    3.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2~3차시)
    V.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초록

    한국 사회는 급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해가고 있다.이는 세계화의 변화에 따른
    것이지만 무엇보다도 늘어나는 거주 외국인과의 국제결혼에 의해 결혼 이민자가 증가
    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이미 거주 외국인 100만 시대를 맞은 한국사회는 더욱 빠르
    게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 추세이다.이러한 다문화 사회 측면에서 문화상대주의적 관
    점에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국제화,다원화시대에서 한 나라의 정치,경제 등
    을 포함한 모든 분야와 영역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일상생활까지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이것은 국가 간의 상호 의존성이 증가하면서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다른 나라의
    사람들과 문화,생활,행동,사고,인식체계를 교류해야 함을 의미한다.즉,자기나라와
    다른 관습,행동양식,태도,가치체계를 갖는 사회의 문화를 이해하고,편견을 버리고
    다함께 공존하는 사회를 지향하는 것이 다문화교육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또한
    세계 문화의 다양성 속에서 개별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요구가 더 강조되며 이는 문화
    의 고유성 자체가 세계문화의 풍요롭고 열린 다양성을 통하여 발전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 pluralistic society means that individuality in each individual's thought and
    actions is emphasized and each difference is recognized and its value meaning is
    granted. Human image to discuss with people who have different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respect difference and have thought and value recognition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negotiation and adjustment is required. The future's
    social problems of the 21st century are the whole global problems and we cannot
    survive while insisting only our own things. We must not have a sense superiority
    or inferiority for each culture but accept the social cultures to which we belong.
    In particular, art plays a role in deciding its national culture type and is one of
    the culture's dynamic factors and the most complicated ones.
    Multicultural art educationcan be called critical reflection on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nd interest in cultural pluralism. In this situation, th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jumps over the limit of modernism and widens understandings of the world
    culture as well as their own art cultural heritage and fields which have been estranged.
    The cultural relativistic education of a pluralistic period is to lear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symbolistic language of art with people who have
    different cultures and recognize cultures of different people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lture through the above.
    Students are able to compose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world art
    culture according to their own interest. The aspect to understand each country's
    culture in the world including art as education and that to posses and enjoy the
    culture as consumers are required. Based on the necessity of thi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theory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our Chosun's folk and the
    Netherlands' Vanitas still life painting in the 17th century are compared. As
    general citizens appeared as the main bodies of art, we need to appreciate
    paintings which focus symbolismon things by understanding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art works develops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times. Based on this,
    this class was planned and proceeded in order to recognize that on the other side
    of the earth, the culture we thoughtit different from us has a common sense and
    express the symbolism of current things granted by us as a formative factor of a
    visual language. This will play a role in development to an art consumer who can
    face acultural period and appreciate and criticize art by themselves through
    deviating only reappearing area of seeing, drawing and coloring. In addition, it
    will act a role in recognition of different cultures from me and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which can be a chance to coexist through the learning to
    art works which developed variously in compliance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course of the accumulated art cultures of each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