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중세의 예화(exempla): 구술문화와 문자문화의 교차점
Ⅲ. ‘혀의 죄악’: 중세의 언어일탈에 대한 규정
Ⅳ. 14세기 예화집에서 나타나는 언어일탈의 사례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초록
이 논문은 14세기의 예화집인 장 고비의 『천국의 사다리(Scala coeli)』와 익명의 작가가 쓴 『여기에서 우리에게 말하다(Ci nous dit)』에서 나타나는 언어적인 일탈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들은 각각 라틴어와 중세 프랑스어로 14세기 전반에 저술되었다. 중세의 예화는 설교문에 삽입된 짧은 길이의 교훈적인 이야기로서, 설교를 할 때 속어로 말하는 내용을 기록 혹은 채록한 것이다. 예화는 대개 성직자들의 언어인 라틴어로 기록되곤 하였다. 그렇지만, 14세기 이후부터는 속어와 세속 문화의 흥기와 더불어, 몇몇 예화들은 속인들을 위하여 프랑스어로 기록되기도 하였고 필사본에는 텍스트의 내용을 설명하는 채식 삽화가 덧붙여지기도 하였다. 따라서 예화는 바로 중세 시대의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가 교차하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예화집에는 수많은 도덕적인 교훈담이 담겨 있는데, 언어폭력에 대한 내용도 그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중세의 성직자, 설교사, 신학자들은 12세기 말부터 '혀의 죄악(Les peches de la langue)`이라 불리는 언어적인 일탈행위들을 규정하고 분류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는 곧 언어폭력을 규제하려는 노력과 연관되며, 그 방식은 고해성사나 설교 같은 구술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로 실현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문자 문화가 점진적으로 성장하던 시대에는 속인 신도들의 언어 예절에 대한 교육은 마찬가지로 글로 쓰인 형태로도 제공되었다. 이러한 사례는 14세기에 프랑스어로 편집되어 필사본의 형태로 채식된 『여기에서 우리에게 말하다』와 같은 예화집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dactic lessons on verbal deviances in two compilations of exempla: the Scala coeli of Jean Gobi and the Ci nous dit of an anonymous author. They were written respectively in Latin and in French in the first half of the fourteenth century. Incorporated into medieval preachers` sermons, these edificatory short tales, were performed orally in vernacular languages, and they were also written down in Latin, the language of clerics. From the 14th century on, with the rise of the vernacular languages and cultures, some exempla were also written in Frenc and illuminated for the lay public in France. That is why the oral and the written cultures are intermingled in the medieval exempla.
The exempla contain numerous didactic tales among which discussions on verbal violences form a part. As a matter of a fact, since the late twelfth century, clerics, preachers and theologians had attempted to define and classify verbal deviances, calling them "Sins of the Tongue." Their attempts to control verbal violences were realized by oral communication in the form of confessions and sermons. The education of speaking manner for the lay public was also offered in the form of written materials with the gradual rise of the written culture, as attested by the illuminated manuscript of the Ci nous dit of the early fourteenth century.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