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ㆍ수록지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 / 2권 / 2호
ㆍ저자명 : 이진민, 권오식
ㆍ저자명 : 이진민, 권오식
목차
Ⅰ. 서론II. 연구방법
III.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지시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보다 구체적으로 유창성지시와 독특성지시가 산출물의 수와 산출물에 나타난 창의성에 어떻
게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양산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S유치
원에 재원 중인 4세반 2학급 49명, 5세반 2학급 47명 총 96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되는 도구
는 부분 도형(곡선, 점선, 사선)을 보여 주고 자유롭게 그려보고 제목을 정해 보도록 유도하
는 도형완성과제로서 유아 개인이 산출한 도형의 수와 산출한 도형의 독창성 정도를 분석하
였다. 유창성지시와 독특성지시가 유창성(산출물의 수)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면, 독특성
지시보다 유창성지시에 더 많은 반응을 하였다. 연령에 따른 산출물의 수에서는 4세가 5세
보다 더 많았다. 그러나 4세 유아는 두 지시에 따라 유창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5
세 유아들은 독특성지시에서의 산출물의 수가 적었다. 자극유형에 따른 산출물의 수에서는
곡선과 사선보다 점선이 반응수가 더 많았다. 유창성지시와 독특성 지시가 독창성 점수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면, 독특성지시에서 더 높은 독창성을 보였다. 또, 교사의 지시유형에 따
라 연령의 창의적 사고를 유발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5세 유아보다 4세 유아들이 더
높은 독창성을 보였다. 산출물의 수와 산출물에 나타난 창의성을 함께 고려해 볼 때, 유창성
지시가 비록 더 많은 반응을 산출하지만, 창의성은 독특성 지시에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
었다. 그리고 자극유형에 따른 창의성 점수에서는 곡선과 사선보다 점선이 반응수가 많았다
는 결과는 앞으로 점선 자극유형이 창의성 교육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
사한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s direction patternon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in more specificall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fluency direction and uniqueness direction on the number of outcomes and the
amount of creativity represented in outco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96 children with 49 from two classes for
four years old and 47 from two classes for five years old attending the S kindergarten
located in Yangsan city. The inventory used in this study was figure completion task in
which partial figures such as circle, dotted line, and oblique line are presented to young
children and asked them to complete a picture and determine its title freely. The number
of outcomes produced by young children were measured and their creativity were
evaluated.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fluency direction and uniqueness direction on
the number of outcome showed that the fluency direction has induced more responses
compared to uniqueness one, and that the number produced by children of four years
old were higher than that by children of five years ol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outcomes between direction type in group of four years old, whereas for the
group of five years old, the number of outcomes produced by uniqueness direction was
higher than it by fluency direction.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number of outcomes
produced from each figure type showed that the number of outcomes produced from
dotted line was higher than that from other two figure type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both types on the creativity score showed
that the score from the uniqueness direction was higher than that from fluency one, and
that the level of creativity induced by direction type was higher in group of four years
old compared to group of five years old. Considering both the number of outcomes and
th creativity represented in them, the uniqueness direction induced more creativity,
though the number of outcomes was higher. The fact that the creativity score from
dotted line was higher than that from other types of figure indicates that the stimulation
by dotted line may be useful in creativity enhanced teaching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