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조형교육 / 28권
ㆍ저자명 : 박명원
ㆍ저자명 : 박명원
목차
I. 서론II. 이론적 배경
1. 미디어 아트의 의미와 포스트모던 경향과의 관계
2. 시각적 미디어 교육의 의미
III. 미디어 활용 미술 수업의 개발과 적용 방향
1. 시각적 미디어를 통한 미술교육의 관점
2. 시각적 미디어 활용 방안
3. 미술수업 운영과 효율적인 시각적 미디어 활용
4. 시각적 미디어를 통한 미술수업 적용 대상
IV. 미디어 활용 미술수업의 개발과 적용의 실제
1. 시각적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과 수업안 예시
2. 시각적 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수업의 효율성
검토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한국어 초록
오늘날 멀티미디어의 급속한 발달과 보급으로 인해 인간의 시지각은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에 연결된 다중감각, 혹은 공감각(Synasthesie)적 인식과 연합하여 각종 정보를 파악하게 되었다. 이것은 보는 이에 따라 시지각의 확장이나, 또는 시지각의 축소로 여기게 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현상에서 최첨단으로 그 경향을 주도하고 반영하는 시지각 예술인 미술과 미술 교과교육은 그 내용과 방법면에서 사회적, 문화적인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즉,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 이외에 미디어라는 새로운 체험의 장을 적극 수용함은 물론 소통을 통한 표현과 감상의 폭을 확충시켜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는 것이다.영어 초록
Socio-cultural phenomena in our society today show us that young artlearners are affected more by visuals in TV, Internet, animation, mobile phone
display, comic books, cartoon characters and corporate logos than by the works of
art in art books, painting albums, art galleries and museums.
This study was aimed at giving young art learners, from first to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irst to sixth graders,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interest in visual media, and analyzing their responses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dia-based art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ly, the children showed a very positive response when they were given a
video footage, such as one from an animation, they familiar with as a learning
material in their art class in school.
Secondly, the use of visual media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new learning
techniques and creating motivation was found very efficient as a material to
stimulate learners recollect past experiences or to help understand the new learn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Thirdly, the young learners in a class tended to be divided into two groups
in their quest for media-based expression measures, some preferred tradi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individual propensity while others felt more comfortable
when they used a computer monitor or a word processor to express their view.
Finally, the young art learners produced more diverse and creative works
when they were introduced to the use and cases of visual media by a teacher
with a more positive attitude to the use and function of media.
참고 자료
없음"조형교육"의 다른 논문
- 시각예술에 있어서 창조적 경험과 패러디에 관한 연구30페이지
- 중등 미술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29페이지
- 기업내 산업디자이너 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기초 연구21페이지
- Art Education in Institutional Curriculum Discourses26페이지
- 레지오 에밀리아 조형환경에 대한 의미 탐색25페이지
-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를 위한 명화감상프로그램 모형개발연구29페이지
- 평생학습활성화를 위한 미술관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모형연구23페이지
- 총체예술(Gesamtkunstwerk)관점에서 본 바우하우스 미술교육35페이지
- 조선시대 화원교육에 대한 미술 교육적 재고25페이지
- 초등 미술 교육에서 지식구성의 표상과정 연구:‘동세감’ 개념을 중심으로2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