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II. 교육과정 통합에 대한 이해
1. 통합 교육의 개념
2. 통합의 유형
3. 교육과정 통합 운영의 장?단점
III. 미술과 교육에서의 교육과정 통합
1. 선행 통합 수업 프로그램 분석
2. 미술과 교육에서의 학문 중심 교육과정 통합
IV. 학문 중심 교육과정 통합의 실제
1. 교과 내 통합 수업의 예: 추상표현
2. 교과 간 통합 수업의 예: 민화
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초록
교육과정 통합의 필요성과 가치가 부각되면서 그 당위성이 소리 높여 주장된다. 그러나 정말 교육적 가치가 있도록 통합 내용이 조직되어 실행되고 있는지 논의될 필요가 있다. 제7차 교육과정 1, 2학년의 ‘즐거운 생활’ 통합이나, 고학년 교육과정 통합으로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주제 중심 통합, 혹은 프로젝트 학습의 사례를 보면 미술과 교육 내용은 미술과의 주요 학습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타 교과의 학습을 도와주는 보조적, 혹은 도구적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다른 교과의 학습 내용은 미술 표현 활동의 제재나 주제와 관련하여 발상의 내용을 좀 더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에 많은 부분 한정된다. 더 극단적인 경우에는 미술과 학습 내용은 주요 교과의 통합에 삽입되어 딱딱한 학습에 지루함을 덜어주는 역할에 머물기도 한다. 이렇게 교육과정 통합에서 미술과의 주요 개념이나 내용은 배제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이 연구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Numerous studies on curriculum integration have centered on the theme or
the topic. In large part of such cases the art education contents are limited to the
secondary and instrumental role for the learning of the other disciplines, and the
contents of the other disciplines are simply expected to enrich the subject of
artwor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on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ing on the
important concepts and principles, or the key ideas in Art Education, and
inclu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different disciplines. This type of curriculum
integration can be classified as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integration. And it
can be considered as the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as well a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this necessity and to explore the
instruction examples.
At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no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its types,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Next, this study analyses
the problems posed in the precedent studies, and argues the possibility and the
necessity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centering on the discipline in Art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instruction examples in the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and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for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An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example concerns the integration of painting and
design, and an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example concerns the integration of the
different disciplines including a korean folk art work; Art Education, Langage art,
Soci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