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의 정비요소에 대한 고령 거주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연남동 사업지구를 대상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4권 / 6호
ㆍ저자명 : 김아름, 구자훈, 이주림
ㆍ저자명 : 김아름, 구자훈, 이주림
목차
I. 서 론II. 이론 고찰
III. 대상지 현황 분석 및 평가항목 설정
IV. IPA분석을 이용한 서비스 질 분석
V.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과거 우리나라의 주거지 재생사업은 대부분 전면철거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재정착률 감소로 인한커뮤니티 파괴, 주택형태 및 경관의 획일화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을의 장소성 유지 및 공동체 회복을 목표로 마을단위계획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최근 서울시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1)을 추진하고 있으며, 4개의 유형2)으로 8개지역에서 사업이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마을단위의 다양한 주거지 정비계획이 시행될 때 마다 사업을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 대상지의 경우, 단독 및 다가구 주택으로 구성된 기성시가지에서 시행되기 때문에거주자 중 그 지역에서 오랫동안 거주한 고령자의 비율이 높다. 따라서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고령자에 대한 고려는 사업의 목표와 취지를 이루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마을단위의 재생사업을 전반적으로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거나 비물리적인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연구들은 많으나 고령 거주자 관점에서 사업을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이에 본 연구는 수복형 주거지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최근 시행되고 있는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을 대상으로 정비요소에 대한 고령 거주자의 인식을 평가하고, 향후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의 계획 수립 시 참고할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민참여형 주거지 재생사업지구 중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인연남동 사례의 정비요소를 대상으로 중요도 및 만족도를분석하여 고령 거주자 관점에서 개인의 우선순위를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erception of elderly resident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ingprojects and suggest the political implications. The survey include questionnaires about the importance and thesatisfaction level on the project maintenance factor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Importance-PerformanceAnalysis (IPA). A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ly, it shows that ‘the possible overkill area’ on the IPA action gridincludes none of factors except ‘landscape’ which is very similar to mean of performance score. the result of analysismeans that the project is very efficient. Secondly, the policy is necessary to improve ‘pedestrian passage’, ‘public openspace’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 Considering elderly residents especially ‘pedestrian passage’ and ‘public openspace’ are in need of improvement immediately. In detail ‘traffic facility’, building ‘urban park’ and ‘pedestrian passage’,‘paving of pedestrian passage’, ‘children’s playground’ are in need of improvement as well. The results of analysis onelderly and non-elderly residents of Yonnam project may be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strategies for improvement.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
- 러프집합이론을 이용한 한스타일 욕실공간의 구성규칙 추출에 관한 연구10페이지
- 거주자가 지각한 정신건강 관련 주거의 질 분석에 기초한 주거 개선요소9페이지
- 가족친화 주거환경을 위한 지역 커뮤니티 평가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이하 자녀를 둔 주..11페이지
- 고령자 주거지원을 위한 주택시설설비결함과 주거만족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의 노인가구를 중심으로 -14페이지
- ‘실패한’ 근대 집합주거의 실패요인에 관한 연구11페이지
- 현대한옥의 집합구성 유형과 모델특성 연구10페이지
- 중세 주택의 개구부 형식에 관한 연구 -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 주택을 중심으로 -8페이지
- 1900년대 이후의 교외 주택에서 나타나는 중심성과 외향적 형태에 관한 연구 - 빌라 로톤다와 빌라..10페이지
- 시설연계형 주택사업방식 활성화를 위한 제도 유연화 방안11페이지
- 독락당(獨樂堂) 일곽(一郭)의 계획개념과 설계원리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