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1인가구 소형임대주택계획을 위한 주거의식과 주거요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4권 / 4호
ㆍ저자명 : 김진영
ㆍ저자명 : 김진영
목차
I. 서 론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여성 1인가구의 주거의식
V. 결 론
REFERENCES
한국어 초록
출산률의 감소와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청장년층의만혼·비혼 추세, 이혼·별거율의 증가 등에 따라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다양한 가족의 유형이 등장하게 되었다. 노인, 독신자, 대학생 및 취업준비자를 중심으로 한 1-2인가구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2010) 결과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1인가구는 총 414만 2,165가구로 이 중 서울시에거주하는 1인가구의 수는 85만 4,606가구로 20.6%의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서울시 전체 가구 중 1인가구의 비율은 24.4%, 여성 1인가구는 전체의 12.6%를차지하고 있다. 여성 1인가구는 교육과 취업 기회의 증가로 여성의 경제적 지위가 변화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Stein, 1978; Tan, 2010).이러한 인구구조 변화와 맞물려, 기존 일반가구를 대상으로 한 중대형 규모 중심의 주택정책은 수요 변화에 따라 1-2인가구 중심의 소형주택 중심으로 방향전환을 꾀하고 있으나, 원룸 중심의 공급은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와맞아 떨어지지 않으면서 특히 여성 1인가구의 경우, 주거불안정과 범죄 불안감에 늘 노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를 고려한 주거환경의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이에 여성 1인가구의 주거의식 분석과 유형화를 통하여여성 1인가구의 주거요구를 파악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여성 1인가구를 위한 소형주택의 양적공급에서 질적 환경개선으로의 방향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영어 초록
This study outlines the housing consciousness and needs of single woman household. In order to analyze housingconsciousness of single woman househol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housingconsciousness, housing needs, socio-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single woman household who lived inSeoul, and other near metropolitan area such as Gyeonggi and Inche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singlewoman household put importance on safety, privacy, and comfort of their indoor housing environment. For single womanhouseholds convenience in transportation and facilities for leisure time were one of the important conscious factors.Housing consciousness of single woman household can be categorized into mainly three groups: (i) indifferent to overallhousing consciousness except for convenient services such as front desk service at the lobby and maid house keepingservices; (ii) privacy conscious group - this was the majority; (iii) relatively active housing consciousness group. Eachtype had different preference factors when selecting a house. That is, each showed difference preferences whenconsidering types, sizes and services as well as motives for choosing a house.참고 자료
없음"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
- 노인복지주택 단위주거 평면계획 특성 및 잠재적 거주자 주거요구 분석11페이지
- 주생활양식 유형별 소형아파트 LDK 선호특성 분석14페이지
- 청소년의 여가실태를 고려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요구에 관한 연구8페이지
- 거주자참여 코하우징의 평면조정에서 나타난 계획과정의 특성 - 코디네이터회사에 의한 성미산마을 코하우..13페이지
- 공동주택 주호개수를 위한 거주자 참여 디자인 수법에 관한 사례연구8페이지
- 멀티해비 라이프스타일 실천자의 전원생활 정착과정에 관한 연구14페이지
- 예비 사회진출자의 졸업 후 주거에 대한 기대 및 주거비 부담에 대한 인식9페이지
- 관리자와 거주자의 인식 비교를 통한 공동주택 유지관리 항목 도출에 관한 연구9페이지
- 주택유형별 1인가구의 범죄 안전성에 대한 조사 연구9페이지
- 다문화가정의 국적별 주거요구 비교분석 - 전주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