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박물관 100년 大計를 위한 한 提言 ; 망명 티뱃의 문화적 재건에 관한 박물관학적 관찰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ㆍ수록지정보 : 박물관학보
ㆍ저자명 : 최연철
ㆍ저자명 : 최연철
목차
Ⅰ. 서론Ⅱ. 박물관학적 관찰을 통한 현장보고
1. 티벳 문화의 중심 , 승원공동체
2. 티벳 불교의 의례의식
3. 깔라짜끄라(Kalacakra) 입문 관정의식
4. 망명 티벳의 문화정체성의 부활
Ⅲ. 박물관학적 관찰과 전승의 개념
Ⅳ. 결론
참고문헌 웹사이트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급속히 변해가는 시대상황에 맞게 박물관의 위상과 박물관학자의 역할을 새롭게정의하고 그에 맞는 실천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박물관의 100년 大計를 위한 폭넓은 가
능성을 제시하기 위한 하나의 제언이다. 이전의 100년이 전통개념에 유폐된 것이듯이, 이후의
100년은 그것을 박차고 나온 정체성 안에서만 유효할 것이다. 다시 말해 이전의 100년처럼 앞
으로도 계속해서 박물관의 인재들을 표본실의 관리자로 방치한 채 Museography에만 몰두한
다변 경쟁력은 관두고라도 얼마 지나지 않아 우리는 스스로 해체의 위기를 경험해야 할지도 모
른다는 것이다. 따라서 -graphy 는 기술적인 전문가들을 지휘 (supervision) 감독하는 것을
통해 해결하고 박물관학자들은 좀 더 철학적이고 관념적인 관찰을 통해 인간의 건강한 미래를
위한 다양한 문화적 가능성을 제시하는 매개자 (agent) 의 역할에 더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들기 위해 본문에 제시한 ‘망명 티뱃의 문화적 재건’ 에 대한 박물관
학적 관찰과 전승 현장에 대한 보고서는 이후의 박물관과 박물관학자가 지향해야할 미래에 대
한 암시이다. 이 작업은 단순한 현장조사 보고서가 아니라 ‘박물관학적 전승 (museological
transmission)’ 의 현장이 가지 는 의 미 를 통찰하여 Museography의 다양한 전문가적 기 능을
접목하고 활용하여 동시대의 인류에게 자신이 관찰한 박물관학적 전승의 현장을 ‘박물관화
(Musealization)’ 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그렇게 박물관화된 박물관학적 전승의 내용을 통
해 특정한 공동체가 지닌 좀 더 큰 단위의 유기적 공동체 속에 그 가치를 드러내고 공존을 위한
실천적 봉사의 길까지도 모색해야 함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박물관과 박물관학자들
의 위상을 제고하는 것은 물론 변화에 적응하기 쉬운 자기 정체성을 형성해 나갈 수 있을 것으
로 본다 애정 어린 관찰과 봉사 지향적 박물관(=박물관학자)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그것은
곧바로 그들이 속해 있는 큰 단위(國家/世界)의 유기체적 삶에 활력을 불어넣는 일이 될 것이
다 그러므로 21 세기를 이끌어갈 박물관과 박물관학은 인간 존재의 긍정적 정체성을 발견하는
일과 유지보존의 기능을 동시에 담보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 초록
Hundreds of books and thousands of pages of museum journals are availableto a person who wants to know museums , it is actually due to their various
contents and objects in the museum history of a growth of several centuries.
The traditional museums were recently defined in the concept of "A non-profit
permanent institution , in the service of society and of its development , and
open to the public , which acquires , conserves , researches , communicates and
exhibits , for the purpose of study, education and enjoyment, material evidence
of man and his environment. And the traditional museology has well extended
and reproduced this concept using the techniques of museography
But the original concept of the term museum has been derived from a
Greek word museion with meaning of 'Sanctuary of Muses , the goddesses
presiding over all learning and art. Hence , the inherent quality of the pursuit
of learning has , in one form or other, been retained by museums all over the
world as theMuses with which glorious events of the past, folk art , music
and poetry, gaiety and harmony were associated. However, the traditional
museum and museology couldn t be enough secured the originality.
Through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traditional museum history, now we
are on the new phase to restore the original Greek museion s meanings , which
is the cultural transmission system to use a concept of 'Musealization(
=Museological Observation)" using all museographical tools. It is a
movement to go to the original places or to grope a coexistence with ecological
environments and to serve human and nature as a museological
mediator( = museum & museologist) in the society of the local community, as
Prof. Bedekar(995) gave a following concept of "New Museology, which is the
theory of the human attempts of collecting , protecting, using such evidences ,
which cannot survive in their original situation , but which are essential or
indispensable , even irreplaceable , in knowing by means of reality through his
own identity. Such evidences can be found , collected , protected , interpreted by
many alternative means , which can be invented by societires according to their
needs ." It has to be actualized through a 'museological observation( =
Musealization)’ in the field of ‘Museological Transmission' by museological
mediatod =museum & museologist). This is some new museological meanings
used in this paper'beyond the science of such traditional museums .
For the concept of the above new museological approach , 1 did a field work to
Exiled Tibetan s Cultural Reconstruction as an example of the 'Museological
Observation (= Musealization) ’ in the actual place of ‘Museolo- gical
Transmission' . And through the field work, 1 could be found that museums and
museologists as a cutural mediator can intermediates between a cutural
evidence with its ecological environments and their cultural identity using
museological approaches. Futhermore, 1 could be given 'a proposal to an 100
years far-reaching policy of Korean Museums in prudence , which can be
actualized through the adaption of the change of the traditional museum and
its museological concept into the above new museological approaches. It may
also be a strengthening way of the nation' s competitiveness using the newmuseological
professionals( =cultural mediator) for the far-reaching future.
참고 자료
없음태그
"박물관학보"의 다른 논문
- 『사립미술관의 현실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결론에 대한 추가 및 세부 제언-3페이지
- 『용산 새 국립박물관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토론3페이지
- 수집 2세대의 박물관 전시21페이지
- 한국의 박물관, 현실과 과제16페이지
- 사립(私立)박물관을 생각한다9페이지
- 용산시대 국립중앙박물관 기획특별전과 전시콘텐츠 마케팅20페이지
- 강원 영동지역 역사민속계 박물관의 유물관리 개선 방안 연구14페이지
-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단의 역할과 ‘극장 용’의 마케팅26페이지
-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박물관 전시 구조에 관한 연구19페이지
- 문화재교육의 프로그래밍 방법론에 관한 연구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