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아개념, 진로정체감,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Andragogy Today / 17권 / 1호
ㆍ저자명 : 신승원
ㆍ저자명 : 신승원
목차
진로성숙(Career Maturity)자아개념(Self-Concept)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
진로정체감(Career Identity)
셀프리더십, 자아개념, 진로정체감,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연구모델 설계
연구 방법
연구결과 및 논의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아개념, 진로정체감,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3개 대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고, 747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
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통계분석 결과 다음의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셀프리더십과 자아개념은 진로
정체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과 진로정체감이 진
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아개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셀프리더십은 진로성숙도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임이 본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으며, 경로분석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했던 진
로정체감은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맥락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이해하는 분석적 도
구로 셀프리더십이 연구되고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자아개념에 대한 다면적 속
성이 반영된 진로 관련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self-concept, career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The sample(N=747) was drawn from 3 univers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from SEM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positive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identity with career maturity. In particular, self
leadership had the most influential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identit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and also affected career
maturity directly. Although self-concep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self-concept was still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career
identity. An important finding in this structural analysis is the effect of self
leadership. Results demonstrated the necessity for the analysis of self-concept in
various aspects,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elf-leadership in the
career field, and the importance of examining career-related variables such as
career identity,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efficacy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