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ㆍ수록지정보 : 퇴계학논집 / 11권
ㆍ저자명 : 신태수
ㆍ저자명 : 신태수
목차
Ⅰ. 問題 提起Ⅱ. 槪念과 構圖
Ⅲ. 根據
Ⅳ. 志向
Ⅴ. 結論
한국어 초록
퇴계 활간독서법의 개념은 세 가닥이다. 이치를 헤아려서 글자의 뜻파악하기, 體와 用의 관계를 살펴서 大意 파악하기, 源頭處와 稟受之初
를 분간해서 성현의 글 파악하기가 그것이다. 이 세 가닥을 하나로 정리
하면 ‘이치에 입각해서 활간하고 본질 파악하기’가 된다. 이와 같은 개념
은 ‘性卽理’의 선험적 규범과 ‘心爲太極’의 존재 법칙을 떠나서 논의될
수 없다. ‘性卽理’의 ‘理’가 능동적이기 때문에 활간독서법이 活理 체인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고, 心發과 心爲太極을 중심으로 人을 설명하기 때
문에 활간독서법이 자율적 의지에 토대를 둔다고 할 수 있다. 활간독서
법의 기능은 두 가지이다. 死物의 언어를 活物의 언어로 전환시킨다는
점이 그 첫 번째이고, 독서인으로 하여금 厭動求靜에서 通貫動靜으로 나
아가게 한다는 점이 그 두 번째이다. 이 두 가지 기능으로 인해 활간독
서법은 성현의 글을 활물로 전환시키고 독서인을 天人合一에 이르게 하
는 지향점을 지닐 수 있게 되었다.
영어 초록
The Toegye's Vital-seeing reading method is divided intothree mainstreams. They are a grasp of words' meaning by
considering reason, a grasp of main caus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the thing and its functions, a grasp of the sages'
writing by discriminating Wonducheo and Pumsujicho. The three
mainstreams can be made into one concept, that is, 'to see
vitally the writing based on the main cause and to grasp the
essentials'. This can not be discussed without an innate norm,
'Sungjeukri', and a principle of existence, 'Simwitaegeuk'. As 'Ri'
of 'Sungjeukri' is active, the Vital-seeing reading method can be
a method of Hwalrichein. And because the Vital-seeing reading
method explains a person focused on Simbal and Simwitaegeuk,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is a method based on self-regulating
volition.
The Vital-seeing reading method has two functions. One is
that it changes a language of dead object into a language of
living object. The other is that it makes a reader proceed from
Yumdonggujung to Tonggwandongjung. With the two functions,
the Vital-seeing reading theory changes the writing of the sages
into a living thing, and helps a reader to have a orientation
which reach Chuninhapil.
참고 자료
없음태그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
- 『大邱儒賢 通講錄』의 正字化와 해제7페이지
- 高峯 奇大升과 栗谷 李珥의 經世論 비교36페이지
- 退溪 李滉의 聖學에 대한 현대적 성찰23페이지
- 팔공산의 지리적 환경과 연경서원26페이지
- 연경서원의 경영과 조선 중기 대구지역의 유학39페이지
- 퇴계 이황 및 낙중 퇴계학파와 연경서원22페이지
- 사람됨을 가르친 퇴계의 자녀교육30페이지
- 書簡을 통해 본 退溪의 스승으로서의 면모와 그 의의31페이지
- 家書를 통해 본 退溪의 家族관계 및 人間的인 면모34페이지
- 陶山及門弟子의 편지와 疏通의 美學1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