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별․수준별 수업모형을 적용한 도전활동 높이뛰기 수업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7권 / 3호
ㆍ저자명 : 정성우
ㆍ저자명 : 정성우
목차
I. 연구의 필요성II. 연구방법
III. 학습목표달성을 위한 단계별․수준별 수업모형 적용
IV. 단계별․수준별 수업모형을 통한 높이뛰기 수업 효과
V.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도전활동 높이뛰기 수업은 학생들의 참여 부족, 운동기능 차이, 제반시설 미비, 혼성학급, 지도상의 어려움으로 학교현장에서 기피되고 있다. 이에 학생중심의 단계별․수준별 수업모형을 적용
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고, 안전하고, 재미있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환경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광역시 Y중학교 혼성학급 남녀 36명의 학생들이며, 연구자의 일지, 심
층면담, 설문자료, 관찰 기록지, 개방형 질문지, 형성평가 등 질적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단계
별․수준별 수업모형을 적용한 결과 교수․학습지도 방법개선으로 수업만족 증가, 자신감 향상, 학
습목표 도달, 그리고 적극적 참여를 통한 도전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높이뛰기 지도방법 개
선으로 체육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다양한 경험제공과 높이뛰기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 초록
High jump class which is a part of the activity for undertaking challenge is neglected atschools due to the lack of students' participation, difference in exercising function, lack of
necessary facilities, mixed gender class, and difficulty when it comes to instruction. To this,
class environment was formed by applying student centered class model by stage and level so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in the class in an increasingly easier, safer and interesting manner.
This research targeted 36 male and female students of the mixed gender class at the Middle
School Y located in Busan. Moreover, researcher's daily log, in-depth interview record, survey
data, record on the observation, open answer type of questionnaire, formative evaluation and
other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t was possible to increase willingness to
undertake challenge after applying class model by stage and level as a mean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method, which in turn increased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class, sense of confidence, attainment of the class objectives and active participation. This
research paper presents meaningful information regarding providing students with diverse
experiences, which is the core of physical education, and better teaching strategies for high
jump classes. More importantly, it will contribute to making high jump classes more accessible
and fun.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중학교 초임체육교사의 수업성찰 초점과 성찰초점 형성요인 탐색19페이지
- TEE(Teaching English in English) 시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21페이지
- 과학 수업 정리 단계에서 작성한 초등학생들의 표현적 글쓰기의 특징 분석18페이지
- 체육활동노트를 활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 사례연구22페이지
- 교사의 반성적 수업 평가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30페이지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과 연계한 영어 쓰기 수업모형 개발22페이지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쓰기 답안에 나타난 담화 특성 분석28페이지
- 골프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재미요인 및 운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17페이지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따른 체육에 대한 태도22페이지
- 대학교 전공영어강의의 전공학습 효과 및 효과적인 학습 전략과 교수법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