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활동노트를 활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 사례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7권 / 3호
ㆍ저자명 : 정현철, 김대진, 정호웅
ㆍ저자명 : 정현철, 김대진, 정호웅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II. 구성주의 인식론에 따른 통합체육수업 과정
III. 연구 내용 및 방법
IV. 체육활동노트를 활용한 통합 체육 수업 사례
IV. 결 과
V.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체육활동노트를 활용한 통합체육수업의 이론적 틀을 정립하고 그에 따르는 수업을 통한 구체적 실천 과정과 그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중학교 6개반 123명을 대상으로 체육
활동노트를 활용한 통합체육수업을 운영하였으며 그 중 ‘할당 선택’(Quota selection)을 이용하
여 4명의 주제보자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체육활동노트를 활용한 통합체육수업은 구성주
의에 입각한 교육으로 교과내 통합은 체육시간에 경험하는 탐구적인 활동들의 통합을 중심으로 생
각과 습득의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교과간 통합은 체육 교과 중심의 중학교 각 교과군에 관련 단원
들을 통합하는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변화를 살펴 볼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
은 자신의 흔적들을 체육활동노트를 통해 재발견하면서 반성적 사고를 경험하게 되었고 다양한 사
고요소들의 활동을 통해 확산적 사고를 경험하게 되었다. 둘째, 체육활동노트는 학생과 교사 모두
에게 의미 있는 피드백 전략으로 학생에게는 하나의 포트폴리오 형식을 취할 수 있었고 교사는 학
생에게 맞춤형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평가방법으로도 활용되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
였다. 셋째, 학생들은 스스로 통합체육수업의 학습목표를 체육활동노트에 설정하고, 자기주도적으
로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신들의 신체 움직임을 분석하고 자기 신체 관리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끊임없이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체육활동노트를 활용한 통합체육수업이 새로
운 체육교육과정에 실천적 자료가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he development of a theory of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by usinga physical activity notebook and the examination of its process and effects through practical
lessons. The participants were 123 students in 6 classes who used physical activity notebooks
in their classes; one representative student was chosen per type (total 4 students) by Quota
selection. This integrated form of physical education using physical activity notebooks was
carried out based on constructivism. The integration of intra-subjects could record the process
of thinking and acquisition resulting from the research activities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integration of inter-subjects also could teach related units with respect to all middle
school subjects with physical education as the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their own
reflective thinking by re-finding their traces through the physical activity notebook, and their
divergent thinking through various thinking activities. Second, the physical activity notebook
allowed the students to create a portfolio which provided customized feedback to teachers and
which could be used as a form of evaluation. It was therefore a meaningful feedback strategy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Third, the students themselves set their goals in their physical
activity notebook and tried self-directly and continuously to analyze their physical motions and
manage their bod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using physical
activity notebooks could be practical material for the new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중학교 초임체육교사의 수업성찰 초점과 성찰초점 형성요인 탐색19페이지
- 단계별․수준별 수업모형을 적용한 도전활동 높이뛰기 수업 효과20페이지
- TEE(Teaching English in English) 시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21페이지
- 과학 수업 정리 단계에서 작성한 초등학생들의 표현적 글쓰기의 특징 분석18페이지
- 교사의 반성적 수업 평가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30페이지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과 연계한 영어 쓰기 수업모형 개발22페이지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쓰기 답안에 나타난 담화 특성 분석28페이지
- 골프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재미요인 및 운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17페이지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따른 체육에 대한 태도22페이지
- 대학교 전공영어강의의 전공학습 효과 및 효과적인 학습 전략과 교수법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