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골프참여자의 심리적 요인과 운동지속의 관계를 규명하여 현장 활용이 가능한 자료를
도출하기 위하여 참여동기가 재미요인 및 운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표집단위는 2012년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골프
연습장과 골프장 3곳에서 총 380명의 자료를 표집하여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
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동기가 재미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재미요인의 하위변인 중 건강․체
력, 스트레스 해소, 자기계발에 미치는 영향력은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에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록향상에 미치는 영향
력은 내적동기에서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인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서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서는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미요인이 운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해소, 사회적 인정, 자
기계발 요인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체력과 기록향상 요인에서는 영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enjoyment and exercise adherence on
participation motivation in golf participants. Study subjects were sampled by visiting three golf
courses and golf rang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e analysis 380 records
were us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and a pre-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using SPSS-Win 18.0,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research too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based o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enjoyment factors, stress, social
recognition, physical strength, and recording elevation with regard to internal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type factors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But recording elevation factors
with regard to extrinsic motivation factors had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exercise adherence, with regard to internal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type factors, indicate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Third, an examination
of enjoyment on exercise adherence, stress, social recognition, and self enlightenment factors
indicate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Physical strength and recording elevation factors had no
significant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