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적 관점에서 본 세계유산 창덕궁의 현장체험학습 설계 및 모바일 시스템 구현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7권 / 3호
ㆍ저자명 : 한상미, 강영옥
ㆍ저자명 : 한상미, 강영옥
목차
I. 서 론II. 이론적 배경 및 관련 연구
III. 창덕궁 현장체험학습 설계
IV. 창덕궁 현장체험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V. 결론 및 논의
한국어 초록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최근 학교에서는 교과학습 외에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재량활동의영역을 확대하고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바탕으로
한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이를 기반으로 증강현실기술, GPS활용 기술, 소셜 네트워크 서
비스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이 현장체험학습 지원을 위해 효율적으로 활용
되고 있는 사례는 미미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유산 창덕궁을 주제로 지리적 관점에서 현장체
험학습 내용을 설계하고, 이를 모바일 앱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한 현장체
험학습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세계유산 및 창덕궁을 다루고 있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세계유산 및 창덕궁의 학습개념을 도출하고, 둘째, 관련 문헌 분석과 현장답사를 통해
창덕궁의 장소별 학습내용을 구체화하였으며, 셋째, 앞서 도출된 학습내용을 모바일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활동으로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학습내용 및 학생활동을 모바일 앱 형태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앱은 2차례에 걸쳐 앱의 구동여부를 테스트 하였으며, 이후 지리교육 전공자를 대
상으로 앱의 학습내용 구성, 학생활동으로의 연계, 현장체험학습의 적합성 여부 등을 테스트 하고,
인터뷰를 통해 시사점과 보완사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민간에서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
창덕궁 관련 앱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내용과는 달리, 지리적 관점에서 학습내용과 학생활동을 설
계하였다는 점에 차별성이 있으며, 학습내용과 학생활동을 모바일 앱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현장체
험학습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geographical field experience learning based on amobile device by designing a mobile application program for the UNESCO World Heritage Site
Changdeokgung. This study was threefold. First, we derived the learning concept for
Changdeokgung through an analysis of related text books. Second, we concretized the learning
content by locating Changdeokgung through field investigations. Third, we reconstructed the
derived learning content, and then developed a mobile application by which students could
learn the content through the use of mobile devices. We tested the application twice to
ascertain its feasibility. Geography education specialists then retested the application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of the learning content, its connection with student activities, and the
suitability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We refined the application by applying the test results
produced by the geography education specialists. We consider the study to be distinctive in
that the learning content and student activities at Changdeokgung have been designed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comparing to the current applications that provides only gener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the applicability of a mobile
application to field experience learn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support system based on
mobile devices.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중학교 초임체육교사의 수업성찰 초점과 성찰초점 형성요인 탐색19페이지
- 단계별․수준별 수업모형을 적용한 도전활동 높이뛰기 수업 효과20페이지
- TEE(Teaching English in English) 시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21페이지
- 과학 수업 정리 단계에서 작성한 초등학생들의 표현적 글쓰기의 특징 분석18페이지
- 체육활동노트를 활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 사례연구22페이지
- 교사의 반성적 수업 평가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30페이지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과 연계한 영어 쓰기 수업모형 개발22페이지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쓰기 답안에 나타난 담화 특성 분석28페이지
- 골프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재미요인 및 운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17페이지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따른 체육에 대한 태도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