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의 재정립을 위한 개념적 접근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96.01
17P 미리보기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의 재정립을 위한 개념적 접근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34권 / 5호
    · 저자명 : 蔡善姬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연구방법론에 대한 다차원적 논의
    Ⅲ. 질적ㆍ양적 방법의 특징과 두 방법 사이의 관련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글은 기존의 연구방법론을 분류할 때 나타나는 개념상의 혼란이 연구방법론의 ‘다차원 성’을 무시하고 단일한 차원으로 분류하는 것에서 비롯된다는 문제인식에 따라, 규범적(연구 주제의 선택), 인식론적(접근방식), 기술적(자료수집과 자료분석) 차원에서의 다차원적 분류를 통한 연구방법 개념의 명확화를 시도한다. 세 차원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이 필연적으로 내재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 이 분류의 기반이 된다. 나아가서 이 글은 방법론 분류에서 중심이 되는 질적ㆍ양적 방법의 통합은 단순히 두 방법을 병렬적으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유에서가 아니라 두 방법이 갖는 한계점을 서로의 장점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방법론상의 근본적이고 내재적인 이유에서 비롯됨을 주장하며 그 통합의 한 구체적 모형을 모색함으로써 앞으로 방법론 논의는 보다 바람직한 통합모형을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모아질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clarify a conceptual confusion in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research methods. Most of current studies on the subject evince the problem of indiscriminate mixture of various levels of methodology. Against this trend I divide research methods in three levels: normative, epistemological, and technical. In the normative level, research methods can be classified in two realms, critical and scientific, according to the value researchers attach to their studies. Critical research method strives for the debunking of oppressive nature of current social structure and the negative contribution of education to its maintenance, while scientific method takes social reality for granted and tries to find factual order as is reflected in data sentences. In the epistemological level, research method can be divided into positivistic and interpretative camps, depending upon how researchers attempt to investigate educational phenomena. Positivistic orientation incorporates the natural scientific methods in the study of social phenomena to establish the universal law, while anti-positivistic orientation refutes the homogeneity of social and natural objects and argues for the usefulness of interpretative methods for the study of peculiarity of human behavior. And in the technical level, research methods can be categorized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by the way researchers collect and analyze empirical data.
    Despit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levance among these three levels, it is absurd to assume the existence of an inherent and necessary connection penetrating them. Rather, we recognize the disjunction between them, as well as within the technical level itself. For instance, though quantitative methods in the technical level are embedded in the positivistic tradition in the epistemological level, we can find some qualitative methods, like ethnographic and ethnoscientifc studies, which purport to attain the goal of generality as in the former. An ignorance of this multi-dimensionality of research methods constitute one important source of the confusion in their classification.
    The commonality in the classification of various levels of methods is the division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s they are applied in the actual processes of educational research. Each method has its advantages and limits. Through quantitative methods we not only exactly discern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ver a dependent variable, but also control the compounding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However, since these methods detach the variable out of social context it is actually situated, we may draw distorted conclusion when one variable possesses different, often quite contradictory,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in different social situation. Furthermore, when they handle the variables with skewed distribution, they often reveal what is known as the universalitic fallacy, discounting its internl variation. On the contrary, qualitative methods generally rely upon the holistic approach and thus are good for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some limited number of cases, which at the same time make up its disadvantage of the particularistic fallacy.
    From this discus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hod we can find the possibility and desirability of their integration into a more encompassing methodological framework. This strategy of integrative methodology starts from the application of qualitative methods. By employing them we can derive out some strategically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 accounting for the dependent variable, without abstracting them from social context. After establishing the potentially general law with them, we need to extend the research to include more extensive number of cases, which will b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The repetition of this strategy will ensure both the scientificity of educational research and the establishment of generality of research results. This is the way how we can transcend the limits of both technical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