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John Dewey의 善 硏究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95.01
28P 미리보기
John Dewey의 善 硏究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33권 / 3호
    · 저자명 : 姜勝規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價値와 慾望의 개념
    Ⅲ. 價値化와 「豫見된 善」
    Ⅳ. 요약과 결론
    Ⅴ. 敎育的 意味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듀이는 成長의 개념과 같이 가치도 원초적 경험에서 완성적 경험으로 진전되는 과정으로 분석한다. 초기에는 즉각적 가치 또는 표면적 가치가 등장하는데 완성적인 경험으로 진전될 수록 실제적 가치 또는 참된 가치가 나타난다. 가치란 구체적인 상황과 조건에 관계된 것인 데, 즉각적인 가치는 단지 행위자의 기호에 의한 것이지 지적인 판단에 의한 것이 아니다. 이러한 가치는 참된 가치를 형성하기 위한 가능성에 불과하며 아직 불확실한 상태이다.
    이런 반면에, 참된 가치는 문제의 상황에 직면하여 형성되는 ’豫見된 善‘이다. ’豫見된 善‘은 욕망을 반향한 지적인 작용을 거친 것이다. 이는 실제적인 문제의 상황에 대한 경험적 분석적 탐구의 결과로서, 바람직하게 예측되는 결과에 대한 가설적인 해결책이다. ’豫見된 善‘은 價値化(valuation), 價値判斷(value judgment) 그리고 深思熟考(deliberation)의 과정을 거쳐 출현된다. 「豫見된 善」에 의해서 만들어진 계획은 실제적인 ’形成된 善‘이 된다. 그것은 아직 주관적이지 못하고 객관적이다. 그 객관성은 경험적인 관찰과 분석을 통하여 검증된다.
    듀이는 形而上學的인 存在論에 입각한 가치론을 拒否한다. 오직 經驗的으로 形成된 善만이 문제의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설득력을 지닌다고 본다. 듀이는 그래서 전통적인 관념적으로 설정된 고정된 위계적 가치체계를 부정하며, 독특한 문제의 상황을 해결하는 데에 ‘적절한 것’이 善이 된다. 이는 전통 철학인 관념론이나 실재론의 절대적 가치에 의해서 현상을 설명하고 해결하려는 입장과는 다른 접근임을 알 수 있다.
    듀이가 교육을 성장의 과정으로 보고 있는 기본적인 시각은 바로 인간 유기체의 생활력에 근거한다. 환경에 적응하고 이를 통제하면서 살아가기 위하여서는 유기체 개개의 주관적인 인식과 적응이 중요하다. 학생이 자신의 삶의 주체가 되었을 때에만 이러한 환경과 문제의 상황에서 살아 갈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 개개인의 삶이 존중되는 교육이 요청된다. 학생 개개인에게 자율적인 판단이 주어져야 한다. 이러한 자신의 주체적인 활동을 통하여 문제의 상황을 풀어 갈 수 있는 기본적인 사고, 즉, 深思熟考와 價値化와 判斷力을 기르게 된다. 이 를 통하여 成長하며 실험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善]을 찾는 방법을 터득할 기회가 제공된다.

    영어초록

    For Dewey man's ultimate purpose(or growth) has its source in his concrete progress from primary experience to consummatory one. Values also are constructed, entertained, developed, generalized, evaluated and reevaluated through such a process. The initial phase of the process of growth is identified, as "immediate value," "non-cognized value," and "liking." The concrete final phase of the process of growth in a specific situation is identified with "end-value," "cognized-value," "final-good," and "constructed good." The intermediate phase is termed as "valuation," "reflective judgment," and "value judgment." which is constituted by "goods-in-view," or "ends-in-view," and "ideas-of-value". In his analysis Dewey terms the whole process of going from "immediate value" to a constructed in the framework of conceiving "man's beliefs about the world in which he lives and his beliefs about the values and purposes that should direct his conduct.
    Dewey rejects what he considers as the two extreme propositions provided by the transcendental theory of a priori values, and the traditional empirical theory of ejaculatory values. Dewey presents his theory by emphasizing that various theories of values in their beliefs about values are pretty much in the same position in which beliefs about nature before the scientific revolution.
    Values exist in the life-processes of selection-and-rejection." In such a process the agent likes or dislikes various objects from "impulses" or "desires," he performs an act of valuing or valuation to accept or reject these objects as ends. If these objects are accepted as ends they become values for him.
    The good-in-view is the result of a course of valuation which represents "a critical process". Dewey recognizes the good-in-view as "a device of intelligence in guiding action, instrumental to freeing and harmonizing troubled and divided tendencies." It is a progressive idea of a constructed good or desirable consequences. Valuation is a process about space-time facts. Values which are the outcome of value judgments are empirical goods reflectively determined by means of critical inquiry.
    For John Dewey education is the growth of man who lives on the earth daily. Therefore school education allow students to live their lives on their judgment. Student have to face to their own problems and try to solve them for themselves. Then school should have democratic system which allow democratic decision-making to them. In the process of whole education students should find their own lives for their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