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33권 / 3호
ㆍ저자명 : 姜勝規
ㆍ저자명 : 姜勝規
목차
요약Ⅰ. 서론
Ⅱ. 價値와 慾望의 개념
Ⅲ. 價値化와 「豫見된 善」
Ⅳ. 요약과 결론
Ⅴ. 敎育的 意味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듀이는 成長의 개념과 같이 가치도 원초적 경험에서 완성적 경험으로 진전되는 과정으로 분석한다. 초기에는 즉각적 가치 또는 표면적 가치가 등장하는데 완성적인 경험으로 진전될 수록 실제적 가치 또는 참된 가치가 나타난다. 가치란 구체적인 상황과 조건에 관계된 것인 데, 즉각적인 가치는 단지 행위자의 기호에 의한 것이지 지적인 판단에 의한 것이 아니다. 이러한 가치는 참된 가치를 형성하기 위한 가능성에 불과하며 아직 불확실한 상태이다.이런 반면에, 참된 가치는 문제의 상황에 직면하여 형성되는 ’豫見된 善‘이다. ’豫見된 善‘은 욕망을 반향한 지적인 작용을 거친 것이다. 이는 실제적인 문제의 상황에 대한 경험적 분석적 탐구의 결과로서, 바람직하게 예측되는 결과에 대한 가설적인 해결책이다. ’豫見된 善‘은 價値化(valuation), 價値判斷(value judgment) 그리고 深思熟考(deliberation)의 과정을 거쳐 출현된다. 「豫見된 善」에 의해서 만들어진 계획은 실제적인 ’形成된 善‘이 된다. 그것은 아직 주관적이지 못하고 객관적이다. 그 객관성은 경험적인 관찰과 분석을 통하여 검증된다.
듀이는 形而上學的인 存在論에 입각한 가치론을 拒否한다. 오직 經驗的으로 形成된 善만이 문제의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설득력을 지닌다고 본다. 듀이는 그래서 전통적인 관념적으로 설정된 고정된 위계적 가치체계를 부정하며, 독특한 문제의 상황을 해결하는 데에 ‘적절한 것’이 善이 된다. 이는 전통 철학인 관념론이나 실재론의 절대적 가치에 의해서 현상을 설명하고 해결하려는 입장과는 다른 접근임을 알 수 있다.
듀이가 교육을 성장의 과정으로 보고 있는 기본적인 시각은 바로 인간 유기체의 생활력에 근거한다. 환경에 적응하고 이를 통제하면서 살아가기 위하여서는 유기체 개개의 주관적인 인식과 적응이 중요하다. 학생이 자신의 삶의 주체가 되었을 때에만 이러한 환경과 문제의 상황에서 살아 갈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 개개인의 삶이 존중되는 교육이 요청된다. 학생 개개인에게 자율적인 판단이 주어져야 한다. 이러한 자신의 주체적인 활동을 통하여 문제의 상황을 풀어 갈 수 있는 기본적인 사고, 즉, 深思熟考와 價値化와 判斷力을 기르게 된다. 이 를 통하여 成長하며 실험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善]을 찾는 방법을 터득할 기회가 제공된다.
영어 초록
For Dewey man's ultimate purpose(or growth) has its source in his concrete progress from primary experience to consummatory one. Values also are constructed, entertained, developed, generalized, evaluated and reevaluated through such a process. The initial phase of the process of growth is identified, as "immediate value," "non-cognized value," and "liking." The concrete final phase of the process of growth in a specific situation is identified with "end-value," "cognized-value," "final-good," and "constructed good." The intermediate phase is termed as "valuation," "reflective judgment," and "value judgment." which is constituted by "goods-in-view," or "ends-in-view," and "ideas-of-value". In his analysis Dewey terms the whole process of going from "immediate value" to a constructed in the framework of conceiving "man's beliefs about the world in which he lives and his beliefs about the values and purposes that should direct his conduct.Dewey rejects what he considers as the two extreme propositions provided by the transcendental theory of a priori values, and the traditional empirical theory of ejaculatory values. Dewey presents his theory by emphasizing that various theories of values in their beliefs about values are pretty much in the same position in which beliefs about nature before the scientific revolution.
Values exist in the life-processes of selection-and-rejection." In such a process the agent likes or dislikes various objects from "impulses" or "desires," he performs an act of valuing or valuation to accept or reject these objects as ends. If these objects are accepted as ends they become values for him.
The good-in-view is the result of a course of valuation which represents "a critical process". Dewey recognizes the good-in-view as "a device of intelligence in guiding action, instrumental to freeing and harmonizing troubled and divided tendencies." It is a progressive idea of a constructed good or desirable consequences. Valuation is a process about space-time facts. Values which are the outcome of value judgments are empirical goods reflectively determined by means of critical inquiry.
For John Dewey education is the growth of man who lives on the earth daily. Therefore school education allow students to live their lives on their judgment. Student have to face to their own problems and try to solve them for themselves. Then school should have democratic system which allow democratic decision-making to them. In the process of whole education students should find their own lives for their future.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CAI를 이용한 개별화 수업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원리의 구안25페이지
- 코스웨어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29페이지
- 교사교육의 연구동향18페이지
-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수정의 논리와 문제점15페이지
- 학교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28페이지
- 교육과정 내에서 교과들간의 갈등관계 분석22페이지
- 가정과 직장, 조화된 양립은 불가능한가?15페이지
- 국민학교 아동의 수 표상 기준에 관한 연구20페이지
- 교수설계이론을 위한 대안적 연구방법론의 탐색16페이지
- 학습전략훈련이 학습장애자의 수학 학업성취, 자기조정, 충동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