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교육학연구 / 31권 / 1호
ㆍ저자명 : 김대현
ㆍ저자명 : 김대현
목차
요약Ⅰ. 문제의 제기
Ⅱ. 교과통합의 목표 : 인격통합
Ⅲ. 교과통합의 목표 : 전인의 개발
Ⅳ. 교과통합의 방식 : 교육과정 유형에 따른 차이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통합의 목표와 조직방식에 관한 다음 세 가지 진술의 타당성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의 결과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통합의 궁극적 목표가 인격통합의 실현에 있다는 진술은 인격통합과 교과통합이라는 말이 애매하고, 인격통합의 바탕이 되는 경험의 계속성의 원리가 지닌 한계 때문에 타당성이 부족한 주장으로 생각한다. 둘째, 교과통합의 궁극적 목표가 전인의 개발이라는 진술은 전인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밝혀졌지만 이러한 요소들의 결합 방식에 대한 정보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전인의 개발을 교과통합의 목표로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미약한 주장으로 생각한다. 셋째, 교과통합의 방식이 교육과정의 유형에 따라 다르다는 진술은 경험형과 학문형을 비교할 때는 옳은 말이지만, 교과형과 학문형을 비교할 때는 맞지 않는 주장이므로 타당성이 미약한 진술이라고 생각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ree following statements. The first statement is that to develop a man of integration is the ultimate objective of curriculum integration. The second statement is that to develop a whole person is the ultimate objective of curriculum integration. The third statement is that the ways of curriculum integration differ with three models of curriculum design.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tement that to develop a man of integration is the ultimate objective of curriculum integration seems to lack some validity due to the ambiguity of their meanings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inciple of continuity of experience.
Secondary, although the statement that the ultimate objective is to develop a whole person seems to be true, it lacks some validity. The reason is that, even if the elements composing a whole person are to be identified, there'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ways they are integrated.
Thirdly, the statement that the ways of curriculum integration differ with three models of curriculum design may be true as compared the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with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In the case of comparison the subject-centered curriculum with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however, it lacks some validity.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고등학교의 차별적 사회화와 사회불평등37페이지
- 교육과정에 있어서의 은유에 대한 한 비판적 논의17페이지
- 특별활동에 대한 국민학교 학생들의 성에 따른 지각과 흥미와의 일치19페이지
- 學習障碍 槪念定義의 妥當性과 再槪念化의 必要性19페이지
- 수월성에 대한 교육 정책의 실제적 내용 분석22페이지
- 대학 학생정원 결정의 사회적 동인 분석21페이지
- 가정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추후 연구(Ⅰ)19페이지
- Siegler 認知戰略選擇模型의 妥當性 檢證16페이지
- 관찰을 통한 교수 평가 체계에 대한 측정의 일반화 가능도 연구18페이지
- 대학 정원의 확대와 교육기회 분배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