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學習樣式 診斷檢査의 標準化에 관한 硏究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89.01
23P 미리보기
學習樣式 診斷檢査의 標準化에 관한 硏究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27권 / 1호
    · 저자명 : 朴玩熙

    목차

    Ⅰ. 緖論
    Ⅱ. 理論的 背景
    Ⅲ. 學習樣式 診斷檢査의 標準化 過程
    Ⅳ. 檢査結果의 解釋 및 活用
    Ⅴ. 結論 및 提言
    參考文獻

    영어초록

    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ndardize the diagnostic test of learning style inventory which R.S. Dunn, K.J. Dunn and G.E. Price had developed in 1975, 1978, 1984, 1986 to meet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Does the contents of diagnostic test for learning style vary according to the cultural background?
    2) Is the learning style consisted of what kind of factors?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 according to the region, sex, and school level?

    2. Method
    1) Subjects:
    Subjects of Preliminary test consist of 3,192 school boys and girls stratified random sampling primary, middle, high schools) in Pusan, and Kyungnam, and subjects of norm test consist of 6,171 school boys and girls stratifced random sampling through the nation.
    2) Tool
    To match the Korean educational conditions, the researcher revised and complemented Dunns / Price's LSI(Learning Style Inventory, 1975, 1978, 1984, 1986) to use the researcher-making questionnaire in this study.
    3) Item analysis techniques
    (1) Split -half reliability, Cronbach a, and Guttman reliability were calculated for item analyses.
    (2) Factor analyses were computed for inquiring the structure of learning styles
    (3) Split-half reliability, Cronbach's a, Guttman reliability, and validity to academic achievements were calculated per each factor.
    (4) Analyses of Variances were execut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the each group (region, sex, and school level).
    (5) Standard scores (T-score) and % ils as norm were computed per each group (region, sex, and school level).

    3. Application of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follows;
    1) To organize of learning groups with more than score 60, score 40 through 60, less than score 40.
    2) To select the learning materials and media.
    3) To decide the type and method of instruction.
    4) To diagnose the individualized teaching program.
    5) To research for the cause of the dissatisfaction of academic achievements.
    6) To make this study criteria of succeeding research.

    4. Conclusion
    Firstly, the learning style consists of 17 factors but its contents and numbers differentiate according to the cultural background.
    Second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the region, sex, and school level.
    Thirdly, there are many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which composed the learning style.
    Fourthly, the succeeding research which revised and complemented this study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match with the Korean cultural background.
    Fifthly, the studies on the learning style and the teaching style must co-exist in order to replace the traditional teaching system which the students should adapt to the teachers with the new individualized teaching system which the teachers should adapt to the students.
    It is more desirable that standanrdized test should be developed to diagnose the teaching styl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0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