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5권 / 4호
ㆍ저자명 : 송유미, 이선자, 이제상
ㆍ저자명 : 송유미, 이선자, 이제상
목차
1. 서론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분석
5. 논의 및 제언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은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 간에 일-가정 갈등이 가진 매개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의 바람직한 가
족 친화적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는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일-가정 갈등을 매개로 직무열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로써 일-가정 갈등이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와 직무열의 간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가정 갈등을 경감시키고 직무열의
를 향상시키는 좋은 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의 가족 친화적 조
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과 가정의 조화를 중시하는 가치를 공유하는 수준을 넘어, 조직 내 모
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탄력근무제와 직무표준화, 성과관리제 그리고 인사시스템 등을 갖추어져야 한
다고 제언했다.
영어 초록
The modern society has undergone the fast change of the family structure andlabor market. Particularly,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became the
era's agenda while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the women increased.
However, the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was not created and the job
engagement of the married female workers was decreased. The married female
workers complained of suffering due to the work and family confli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tudy a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and
secondly to investigate if family conflict affect the relationship.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known that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has effect
on the job engagement, and work and family conflict play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Therefore, it can be
explained that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enhances the job engagemen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and the culture would be a good measure of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Based on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public relation and education need to
be preceded for the spread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by national
initiated programs.
Secondly, in terms of welfare organization, related regulations and guidelines
need to be prepared, and thirdly, in the view of individual respect, members of
family should have their own rights to put forth an opinion grandly with firm
faith of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
- 노인 암환자를 중심으로 노인 만성질환자 및 중년 암환자 간의 삶의 질과 그 영향 요인 비교27페이지
- 종교와 기부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25페이지
- 지구적 정의론으로서 지구시민권구상의 윤리학적 기초에 대한 연구21페이지
- 김만두 비평24페이지
- 미국 한인 가정폭력피해 한부모 빈곤여성들의 자활 경험25페이지
- 노인요양시설의 기관 및 종사자 관련 요인들은 클라이언트 폭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23페이지
-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이직의 맥락과 패턴26페이지
- 노년기 배우자 사별 후 적응과정에서의 개인적 성장29페이지
-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과 비과업행동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와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27페이지
-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이용자 옹호의 관계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