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정서표현과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ㆍ수록지정보 : 미술치료연구 / 20권 / 5호
ㆍ저자명 : 김형희
ㆍ저자명 : 김형희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하여 정서표현과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 선별을 위하여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고 선별된 총
14명의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실험집단 7명의 여학생, 통제집단 7명의 여학생) 중, 실험집단에 주 1회 60분씩,
총 8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정서표현검사, 또래관계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
였고 자료 분석은 비모수검증인 Wilcoxcon Ranks Sum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정서표현 전체와 하위영역인 자기지각, 긍정⋅부정정서의 양가감정에
서 실험집단 전원이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들의 자기지각력을
향상시키고, 긍정⋅부정정서의 양가감정을 감소시켜 집단원들의 정서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둘
째,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또래관계 전체와 하위영역인 친구의 유무와 신뢰, 교제의 지속기
간, 친구간의 적응, 친구간의 협동활동에서 실험집단 전원이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학
교생활부적응 청소년들의 친구의 유무정도와 신뢰를 향상시켜 친구간의 교제지속시간이 늘어나고 친구 간 협
동과 활동정도가 높아져 집단원들의 또래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emotionalexpression of adolescents with poor school adjustment. Students were administered a school adjustment test,
the result of which showed that 14 students had problems in adjusting to their school life. The 7 students
were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7 females) and a control group (7 female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8 session art therapy, once a week, each session 60 minutes long. The instruments
included an emotions scale and peer relationship scale, all of which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rank sum test, a non-parametric
verifi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memb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the whole domai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subcategories including
self-perception and positive⋅negative ambivalence. This finding suggests that group art therapy improved
the self-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and reduced their positive⋅negative ambivalence, which contributed
to their emotional expression. Second, all the memb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the whole domain of peer relationship and the subcategories including existence of friends and the trust,
du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adjustment between friends, and activities between friends.
This finding suggests that group art therapy improved the existence of friends and trust, which lengthened
the du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and that art therapy improved the adjustment between
friends and activities, which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peer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