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간호사의 주요 피부소독제 인지도와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기초간호학회
ㆍ수록지정보 :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13권 / 2호
ㆍ저자명 : 최정실, 안경주, 박승미
ㆍ저자명 : 최정실, 안경주, 박승미
목차
서 론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한국어 초록
임상간호사들이 주로 근무하는 병원현장에는 의료기구의 소독, 환경소독, 피부소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소독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소독제들이 사용되고 있다. 올바른 소독제의 사용은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숫자를 줄임으로서 적절한 소독수준을 유지시켜 감염관리를 효과적으로 하도록 도와주는 반면 부적절한 사용은 감염이나 건강상의 위해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Jeong, You, Jeong, Kim, & Oh, 2002; Rutala, Weber, &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2008). 이 중 피부소독제는 살아있는 생체조직에 직접 적용하는 것으로 상처관리를 위해 손상된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 조직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모든 미생물에 정확한 효과를 나타내어야 한다(Christine & John, 1993; Doughty, 2005).영어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n hospital nurses’ practice of disinfection focused on alcohol, chlorhexidine gluconate (CHG), and povidone iodine (PVI).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6 nurses of 3 general hospitals and 2 upgrade general hospitals in 5 citi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 January, 201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8.0. Results: The subjects used alcohol and PVI daily for intravenous site care and surgical wound dressing respectively. The mean percentage of awareness in practicing main disinfectants were 80.0% and 72.5% respectively. The awareness and practice were highest in alcohol, but lowest in CHG. The mean percentage of practice of disinfectants was 72.5%.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awareness and practice of main disinfectants. The awareness and nurses’ salary explained 34.6% of variance in practice of disinfectants. Conclusion: An educational program focusing on strategy to enhance hospital nurses’ awareness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practice of disinfectants.참고 자료
없음"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의 다른 논문
- 노인의 인지기능과 균형능력 및 삶의 질8페이지
- 단기간의 영양 섭취 저하가 쥐 뒷다리근에 미치는 영향6페이지
- 학년에 따른 간호학생의 찔림사고 현황 조사 및 관련요인5페이지
- 건강검진 수진자의 대장용종의 특성과 성별에 따른 위험요인10페이지
- 버가못 에센셜 오일 향흡입이 요추관협착증 환자의 수술 후 만성통증에 미치는 효과8페이지
- 음악요법 유형이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수술 중 불안 및 활력징후에 미치는 영향7페이지
- 아로마 마사지요법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 수면 및 활보장에 미치는 영향7페이지
- 여성 노인의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관련성 조사연구8페이지
- 일 대학 재학생과 졸업예정자의 혈청 지질 비교8페이지
- 간호정보제공이 집중치료실 환자의 환경적 스트레스, 불안 및 안위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