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율이 10.3%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으며, 2026년에는 20.8%가 되어 초고
령화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KNSO, 2008). 이와 같
은 노인인구의 증가는 노화와 더불어 발생하는 질병이나 기
능부족으로 인해 타인에게 의존해야 하는 노인의 절대수가
증가하며, 노인문제 중 신체적 노화에 따른 변화뿐만 아니라
심리적 적응과 관련하여 노년기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문
제는 우울이다.
노년기 우울은 신체건강, 인지기능, 사회적 지지 등과 밀접
한 관련이 있으며, 우울 정도에 따라 이들 변인이 영향을 받
으며, 다양한 기능상태 저하를 유발한다(Kim, Yoo, & Han,
2002). 특히 노인의 우울 정도는 타 연령층에 비해 더 심각하
며,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으며, 사별한 경우,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증가하고 있으며(Cummings,
Neff, & Husaini, 2003),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더 높은
우울 정도를 보이고 있다(Kim, 2003).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with hypertension.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238 person aged
over 65 with hypertension who live in house located in BukGu Daegu cit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
with questionnaire from July, to August 10, 201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 ADL (r=.328, p=.000) and between depression & ADL (r=-.293, p=.000). There was s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depression & perceived health status (r=-.199, p=.00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significantly affected depression
was sex (t=2.49, p=.013), age (F=5.882, p=.001) education (F=6.550, p=.000), occupation (t=-6.990, p=.000).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an intervention program and care for
the elderly with hypertension.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