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반영적 그룹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의사소통 발달에 미치는 효과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3.01
18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1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발달장애학회 수록지정보 : 발달장애연구 / 17권 / 3호
저자명 : 양은아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결론 및 논의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반영적 그룹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의사소통 발달에 미치
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연구 대상은 유아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10
명으로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이었으며, 실험집단에게는 반영적 음악치료 프로그
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은 그룹 세션으로 주 1
회, 총 32회의 음악치료 세션을 실시하였으며, 그 외 부모상담, 부모교육, 교사연수,
관련 자료 배부 및 평가지 수거, 치료 참관, 그리고 부모 및 담당교사와의 개별적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로는 K-CDI 발달검사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반영적 그룹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장애아동의 사회·의사소통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사회성에 있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으며, 의사소통 중 표현언어와 언어이해 점수에서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반영적 그룹 음악치료 프
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성과 의사소통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방과 후 그룹 음악치료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how reflecting, a technique applied in group music
therapy, affects disabled young children's development in social and communicative
capacity. The subject for study was consisted of 10 children at special school for
the disabled in early childhood, which a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made up of five children and control group with the same number of
childr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reflecting was conducted by a music therapist
while this therapeutic method was applied for the control group. A group
therapeutic session was held once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stretched to 32 sessions in total. The sessions were done in parallel with
consultation with and education of parents, training for school teachers, distribution
of reference material, collection of assessment sheets, observation of therapy
sessions by parents, and interviews with individual parents and teachers. The
K-CDI development test was used to measure pre- and post-experiment states of
the disabled children under study. The study shows that reflecting in group music
therapy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disabled children's
social and communicative capac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regard to communicative skills,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of languag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two groups. This result concludes that reflecting is effective
as therapeutic method in group music therapy for advancing disabled children's
social and communicative capacity. It also helps indicate the way which will lead
after-school music therapy program for disabled young children to advanc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반영적 그룹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의사소통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