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 분석 : 사고 양식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6권 / 3호
ㆍ저자명 : 이종희, 이아름
ㆍ저자명 : 이종희, 이아름
목차
I. 서 론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절차
IV.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본적인 수학적 지식과 기능의 습득,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는능력의 배양, 사회나 자연의 현상과 문제를 수학적으로 고찰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의 신장
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고 양식에 따라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특징
을 분석하고,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양식의 학생은 모델링 단계에서 상황에 대한 정신적 표상(MRS)과 실제모델 단계를
교대로 풍부하게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반면, 분석적 양식의 학생은 수학적 모델 단계를 많
이 활용하며 모델링 주기가 시각적 양식의 학생보다 복잡한 주기를 보여주었다. 둘째, 모델링 해결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는 조건을 선별하거나 수학적 모델에서 도출된 수학적 결과의 타당성을 논증
할 때, 모델의 적합성을 판단할 때 사용되었다. 유추적 사고는 이전에 풀었던 문제 상황을 모델링
과정에 적용하거나 새로운 모델을 구성할 때 사용되었다. 그리고 모델링 해결에서 필요한 수학교과
외적지식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귀납적 사고를 하였다. 또한 구해야 하는 값이나 자신의
모델의 타당성을 논증할 때는 연역적 사고를 사용함이 확인되었다. 모델링과제의 해결 과정에서 학
생들의 사고 양식에 관계없이 연역, 유추, 귀납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가 모두 사용되었다.
영어 초록
The education curriculum that was updated 2011 aims at the acquisition of basicmathematical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considered communication, and
rational problem-solving ability with respect to society, natural situations, etc. Through
mathematical modelling, students can become aware of the basic structure of situations around
them, search through interesting topic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and
reinforce rational thinking about the useful skills needed in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tudents' modelling processes and the roles of
mathematical thinking step by step.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 visual-thinking-style student used both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situation and real
model steps. On the other hand, an analytic-thinking-style student frequently used a
mathematical model and demonstrated a more complicated way of solving a problem than a
visual student.
Second, critical thinking from the modelling process was used for filtering the conditions
from real modelling step and reasoning of mathematical result from mathematical model. The
students used inductive reasoning in the investigation and the extra-mathematical knowledge
that is needed in the model solving process. They also used deductive thinking when they
proved the validity of their models.
참고 자료
없음"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English Teaching 에 게재된 말하기 논문 주제 분석 : 1976-2012년에 게재된 논..28페이지
- 고등학생의 계열 선택 및 과학․수학 선택 과목 이수에 관한 의견 조사19페이지
- 초등학생의 어휘 특성 연구 : 반대말과 비슷한말 검사를 통한 어휘 발달 패턴 및 오류 유형 분석15페이지
- NIE 경험과 중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27페이지
- 초등영어교과와 통합한 TPRS 활용이 초등학생의 영어 리터러시 발달에 미치는 영향22페이지
-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및 고찰17페이지
- 초등 사회과 경제 영역 교과서 내용 구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평가21페이지
- 초등영어 수업에서 실생활 듣기와 말하기 능력향상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적용 효과20페이지
- 우리나라의 ICT 환경 기반 수학 학습 현황 분석31페이지
- 한국인 영어작문에 대한 평가 : 원어민․비원어민 평가자간 유사점과 차이점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