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수록지 정보 : 시각장애연구 / 28권 / 1호
· 저자명 : 최정미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 문헌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학급 경험 정도가 비장애 아동의 장애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
로 연구 대상은 다문화학급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의 비장애 초등학생 중 통합학급 경험이 없는 아동
396명이다. 본 연구의 검사도구는 Voltz의 Acceptance Scale(A-Scale)를 연구의 목적과 학년성에 맞
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이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첫째, 다문화학급 경험 정도가 클수록 비장애 아동의 영역별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었으며,
둘째 비장애 아동의 학년이 높을수록 다문화학급 경험 정도에 따른 장애아동 수용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학급 경험과 통합교육의 협력 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후속되기를 제언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fluence of experiencing multi-cultural
class upon the acceptance attitude in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396 children who have no experience
of variable-controllable inclusive class available for having influence upon acceptance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o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t elementary
school, which is being operated the multi-cultural class in D Metropolitan City. A test
tool of this study was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in line with research
objective and school-year characteristic based on what adapted Voltz’s Acceptance
Scale(A-Scale). The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T-test, which
is verification of the mean difference.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class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the acceptance attitude in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rdingly, this study is suggesting
researches on a cooperative plan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tion
as a follow-up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