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ㆍ저자명 : 추병완
ㆍ저자명 : 추병완
목차
Ⅰ. 머리말Ⅱ. ‘국민교육’을 통한 국가 정체성 교육
Ⅲ. ‘공민과 도덕교육’을 통한 국가 정체성 교육
Ⅳ. 싱가포르 국가 정체성 교육에 대한 평가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싱가포르 정부는 민족적 국가 정체성을 약화시키는 가운데, 다문화적 국가 정체성과 시민적국가 정체성 개념을 혼합한 독특한 형태의 국가 정체성 함양 교육을 중시하였다. 이에 이 논문
의 목적은 문헌 분석을 통해 건국 이후 싱가포르 초등학교에서의 국가 정체성 교육의 변천 과
정을 기술ㆍ분석하는 데 있었다. 싱가포르의 국가 정체성 교육 실험은 우리에게 몇 가지 중요
한 시사점을 준다. 싱가포르의 국가 정체성 교육 사례는 도덕이 지닌 의미를 자의적으로 축소
해서는 안 되고, 정부의 민주적인 정책과 리더십이 선행되어야 하며, 유연하고 복합적인 정체성
형성을 장려하는 가운데 애국심과 세계 시민성의 조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apparatus forcultivating national identity in Singapore elementary schools. Singapore government
has sought to develop notions of civic pride and citizenship for the purpose of
nation-building. Thus, I described the formation and subsequent changes in
both‘National Education’ and ‘Civics & Moral Education’ in a historical fashion.
National education, broadly speaking, is a civics programme which seeks to instil a
sense of place, identity and history in youngsters with a view to developing
national pride and commitment. ‘Civics and Moral Education’ is a separate subject
for cultivating morality and citizenship.
Singapore’s national myth of overcoming crises to create an economic success
story, generating a respected nation out of the most marginal of resources, and
going from third world to first world does little to build either a sense of social
cohesion or loyalty. Without sincere political changes in Singapore, it is impossible
to cultivate strong national identity among Singapore peoples. In this regard, open
civic discourse must be employed by the citizens and governmental leaders of
Singapore to rebuild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Finally, I explored several
implications from the example of Singap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