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보호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8권 / 2호
ㆍ저자명 : 임정하, 문지윤
ㆍ저자명 : 임정하, 문지윤
목차
Ⅰ. 서 론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 보호 아동이 지각한 희망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아동의 기질과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 소재 아동복지양육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생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특성과 기
질, 사회적 지지, 희망에 대해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
도 분석, t 검증,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시설 보
호 아동이 지각한 희망은 중간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성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아동의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설 보호 아동의 나이가 많을수록, 친구, 시
설가족, 학교교사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희망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의 기질은 희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동기적 측면인 희망주도에는 친구의 지지가, 수단적
측면인 희망경로에는 시설가족과 학교교사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영어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emperament, social support and hope ofinstitutionalized children. A total of 198 children, aged 10 to 13, recruited from 20
institutions in Seoul participated. Demographics, temperament, social support from friends,
institution-family and school teacher, and hope were assessed by self-report. Results
showed that in bivariate level,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vel of hope. Howeve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indicated that
children’s hope was predicted only by age and social support from friends,
institution-family and school teacher. That is, temperament was not contributed to
predict hope, whilst social support contributed unique variance to the prediction of hope,
controlling for age. The more social support the children felt they had, the higher levels
of hope they reported. Further analyses revealed that support from friends,
institution-family and school teacher were influential factors in explaining hope agency,
while support from institution-family and school teacher were influential factors in
explaining hope pathway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controlling for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