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학교 기숙사 학생의 식습관과 급식 만족도 조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ㆍ수록지정보 : 시각장애연구 / 28권 / 2호
ㆍ저자명 : 이해균
ㆍ저자명 : 이해균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기숙사 학생을 대상으로 식습관 특성과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이들에게 영양섭취를 향상시키고 학교급식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해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 기숙사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교 기숙사 학생의 식습관 특성으로 아침식사 평균 ‘주 5~6회 식
사하는 학생’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반면에 ‘주 3~4회 식사하는 학생’이 가장 낮다. 학교식당에서 식
사하지 않는 이유로는 전체적으로 ‘식단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입맛이 없어서’, ‘외식하기 위해서’
순으로 비율이 높았으며, 선호하는 아침식단으로는 ‘한식’, ‘양식’, ‘일식’ 순으로 높았다. 둘째, 학교급
식 만족은 전반적으로 보통수준 이상으로 높았으며, 전체 만족의 가장 높은 순위로는 ‘선호 음식제공 빈
도’, ‘음식의 외관’, ‘반찬의 가지 수’ 순으로 평균 점수가 높은 반면 ‘식단의 조화’가 가장 낮았다.
그리고 매 끼니별 만족은 매우 높은 편이며 점심식사가 가장 높고 저녁식사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후속연구에 필요한 사항을 제언에 제시하였다.
영어 초록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ting habit and the levelof school meal satisfac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thus to improve
their nutri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to enhance the quality of school meal.
To achieve the goal, 174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residing in the dormitory of
twelve schools throughout the nation took part in the survey.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ting habit on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residing in the dormitory, the rate of the students eating
breakfast (average 5~6times a week) was the highest, but that of the students
having breakfast(average 3∼4times a week) was the lowest. For the reasons that
students don’t eat at the school cafeteria, ‘because they don’t like the die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because they don’t have much appetite’ and ‘because they want
to eat out’. For their favorite diet, ‘Korean dishes’ were highest, followed by
‘Western dishes’ and ‘Japanese dishes’. Secondly, the level of school meal
satisfaction was by and large more than middle level, the highest level of the total
school meal satisfaction was ‘the frequency of their favorite dish’, followed by ‘the
appearance of food’ and ‘the number of the side dishes’ whereas the lowest was
‘the balance of diet’. The satisfaction level by each meal was very high, and
specifically lunch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but dinner, the lowest.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matters required in the subsequent
researches were suggested in the limitations.
참고 자료
없음"시각장애연구"의 다른 논문
-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학교 특수교사발달단계와 특수교사전문성 인식 비교35페이지
- 수학게임 활동이 시각장애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17페이지
- 시각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18페이지
- 시각장애학교 교육실습 과정을 통해 나타난 예비 특수교사들의 PCK 분석37페이지
- 성별과 학교급별로 본 맹학생의 학습 양식과 비판적 사고력 성향17페이지
- 시각ㆍ촉각 단서를 제공한 요리활동이 시각중복장애학생의 측정 개념에 미치는 효과17페이지
- 뇌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시각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불안 해소에 미치는 영향 24페이지
- 시각장애교사의 컴퓨터 활용실태와 활용능력35페이지
-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의 2차적저작물성에 관한 연구28페이지
-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감성지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