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 / 3권 / 1호
· 저자명 : 박하나, 장수미
목차
Ⅰ. 서 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학생의 음주문제와 데이트폭력에 관심을
갖고,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 중 피해여학생과 가해남성의 음주문제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서울·경기 및 충북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피해는 정서적 폭력 59.6%, 신체적 폭력 12.5%, 성폭력
50.8%로 나타났다. 둘째, 데이트관계만족도, 폭력인식도, 폭력허용도, 성장기가정폭력경험은 데
이트폭력 피해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데이트폭력 피해에 피해여학생의 음주문
제는 유의미한 반면 가해남성의 음주문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과 지역사회 관련기관에서의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피해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사
회복지실천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A recent research has focused on exploring the drinking behavior on dating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ffects of drinking problems of
the female victims and male perpetrators on dating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The 319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the dating experiences were participants. They
registered the 5 universities in the area of Seoul, Gyeonggi and Chung-buk. Data were
analys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valence of dating violence and drinking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were high. Satisfaction of dating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tolerance about
dating violence,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were significants variables on dating
violence. Drinking problems of female victims was only significant on dating violence.
Overall finding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ffective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cused on drinking behaviors. Community alcohol
counseling center may cooperate with th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