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요약하기 학습 내용에 대한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5권 / 1호
ㆍ저자명 : 정종성
ㆍ저자명 : 정종성
목차
I. 서 론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 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국어과에서 다루어지는 요약하기 학습 내용이 무엇인지, 이러한 내용들이 영역별, 학년별로 연계성 있게 구성되어져 있는지, 요약하기를 독해전략으로 지
도한 선행 연구에서의 요약하기 학습 내용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국어 교과
서 분석 결과 중요한 내용 찾기, 관련어 통합하기, 관련 문단 통합하기, 중심 문장 찾기가 국
어과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나 중요한 내용 찾기가 절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관련 문단을 통합하는 것은 고차적인 사고과정을 요하는 도전적인 활동인데 6학년에 한 차례
이루어짐으로써 문단 통합에 대한 기술을 학생들이 습득하기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
다. 설명문의 구조를 활용한 요약하기 학습이 6학년에서 한 차례 이루어졌다. 하지만 설명문
의 구조는 다양하기 때문에 한 차례 글의 구조를 배우는 것만으로 학생들이 설명문의 구조를
이해하여 이를 요약하기에 활용하기에는 연습 기회가 충분치 않아 보인다. 요약하기 학습내
용은 읽기 교과서에 집중되어 있으며 읽기 교과에 요약하기가 학습내용으로 등장하는 경우에
도 말하기, 듣기, 쓰기의 동일 단원에서는 요약하기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요약하기 규칙이나 글의 구조를 학습하여 요약하기 기술을 습득하는 내용이 국어 교
과에 제시된 점에서 요약하기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이루어진 지도 내용이 교육 현장에도 적용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현행 초등학교 국어 교과에서 다루어지는 요약하기 학습
은 주로 중요한 내용을 찾아 나열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요약하기
규칙을 활용하여 요약문을 완성하거나 글의 구조를 활용하여 요약하기를 해 볼 수 있는 기회
가 제한되어져 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summarization activities are addressed in Korean elementarytextbooks, how the activities are arranged, and whether the activities reflect the components of
summarization instruction that were implemented in prior studies. Selecting important
information, collapsing lists and actions, collapsing paragraphs, and identifying topic sentences
are the primary summarization rules in the current Korean elementary textbooks. Selection of
important inform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rule across grade levels. Recognition of text
structures is introduced in the sixth grade reading textbook, but opportunities to practice
identifying text structures and to use the knowledge of text structures for summarization were
not given. Summarization activities are mostly implemented in reading, while just a few
activities are included in for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in the textbooks. The summarization
activities in Korean elementary textbooks reflect what have been demonstrated in prior studies
about the effect of summariza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summarization, but
summarization lessons seem to focus primarily on identifying important information. Overall,
students do not hav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write a summary using more comprehensive
summarization rules and their knowledge of text structures.
참고 자료
없음태그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
- 초등 및 고등학생들의 지구 환경에 대한 보살핌 윤리 지수21페이지
-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교과서의 효과성 분석 : 경제과목 오개념을 중심으로16페이지
- 학습자의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수학 교사들의 PCK20페이지
-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사례연구20페이지
- STAD 협동학습 수업모형의 체육수업 적용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18페이지
-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가 겪는 학생평가의 어려움과 당면과제 탐색21페이지
- 일본 과학교육의 문제점 고찰 및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미친 영향 분석20페이지
- 중등 예비 체육교사들의 교육실습 만족도에 대한 분석14페이지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 내용분석26페이지
- 르네상스 시대 미술자료를 활용한 중등 역사 학습 방안 연구1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