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실태 조사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7권 / 3호
ㆍ저자명 : 황해익
ㆍ저자명 : 황해익
목차
Ⅰ. 서 론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들의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어린이집장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필요성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
로써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어린이집 현장
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23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집 장학과 관련된 선행연
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교사용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인식은 ‘어느 정도 알고 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장학과 관련된 연수 및 보수교육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받
은 적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
발에 대한 문제점 인식을 살펴본 결과 ‘현장의 목소리 미반영’이 가장 높게 나타
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의
차이를 제변인에 따라 알아본 결과 학급규모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기관유형, 학력 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
로 어린이집 장학을 담당하기에 적합한 기관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보육
지원센터·보육정보센터’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린이집의 장학을
담당하는 장학사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연수받은 교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asupervision program of a child-care center and to improve quality in the
field of the child-care center by researching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 real condition and problems on the development and its
improvement, necessity, demand about the scholarship program. An object
of this study was randomly selected 230 staffs working for the child-care
center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and Kyoungnam province. A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using a questionnaire made by writer with
referring to the preliminary study which is associated with a supervision
program of child-care center in order to research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s on the development of a supervision program. The
collected material was analyzed by a PASW 18.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firstly, a perception of the supervision program
was shown "know somewhat" the highest and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real condition of training and follow-up course for child-care teachers,
"never educated" was the highest. Second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a
perception of the problem on the development of supervision program,
"unreflected-in-sound" was the highest. Third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differences of necessity on the development of a scholarship program
for a child-care center according to some factors, there existed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erms of the class size, but there existed no
difference in terms of the type of organization, institution type, academic
background.
참고 자료
없음"한국보육지원학회지"의 다른 논문
- 유아의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26페이지
-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척도 타당화 연구1)19페이지
-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28페이지
-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및 인지적 자아에 미치는 효과23페이지
- 자연친화적 실외 환경 놀이에서의 영아의 경험 세계22페이지
- 중학교 청소년의 부모간 갈등과 자아분화간 관계에서 특질불안이 미치는 매개 효과17페이지
- 기본생활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24페이지
-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발전방안34페이지
- 영아영어교육 실태 및 영아어머니의 영아영어교육 요구에의 영향 변인 분석*23페이지
-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