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Andragogy Today / 13권 / 2호
ㆍ저자명 : 김성길, 한진상
ㆍ저자명 : 김성길, 한진상
목차
다문화교육 주체 및 대상의 제한다문화교육 담당자들이 느끼는 주체 제한의 한계
결혼이주민과 그 자녀가 경험한 다문화교육 현실
다문화가정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의 필요
결론: 다문화교육의 주체는 나, 너, 우리 모두
참고문헌
미주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주체와 그들의 활동 장소를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고찰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가정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학문적 기초를 점검한 연구다. 그동안 한국인들은 다문화교육이 이주민들만의 교육이라고 곡해해왔다. 그나마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이 다문화교육의 주체가 되지도 못했다. 합법적으로 환영받았던 결혼이주민과 그 자녀들만이 다문화교육의 주체로 제한되었던 것이 현실이다. 실상 결혼이주민과 자녀들의 교육도 학교라는 공식적이고 권력지향적인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로 인해, 다문화교육 활동은 한글교육과 문화체험 위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다문화교육은 사회구성원 모두의 다문화적 감수성을 키워주는 삶의 철학이다. 그동안 한국의 다문화교육이 이주민들의 적응과 동화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왔다면, 이제는 나와 너, 우리 모두를 주체로 하는 평생교육적 측면의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사회구성원 모두가 사회 곳곳의 배움터를 활용하여 나와 다른 문화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고 이를 공공의 사회적 자본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요구되는 것이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cademic suggestions for developinglifelong erudition program, especially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d what institut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perate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how subjects and environment in the
multicultural institutes educate them.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illuminated how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excluded from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what society needs for overcoming those impregnable
situations.
Currently, South Korea also has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globalization. However, local situation needs to be investigated through the
cultural and historical local context. Because South Korea had been a
single-race nation historically, people in South Korea usually think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nly for those who are immigrants. For developing
localized educational program of South Korea, we need to realize the exact
situation, in which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laid in inequality. What they
really suffer from is the educational system in which they cannot have
opportunities to exposure themselves in a proper education. Indeed, formal
educational institutes, including schools are not the very location they can rely
on. Curricula of the school in South Korea are severely influenced by power
relationship of social status as well as hidden curricula which are restricted
from several regulations only for ‘Usual’ family. With those cultural and
historical reasons, educational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replaced as simple activities, such as exploring superficial Korean culture and
learning basic Korean.
With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rudi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a
process of assimilation from other society to ours. It connotes to educate society
as a whole. To increase cultural sensitivity, we need to develop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not for ‘them’, but for ‘us’. What are needs for the society is
to increase cultural sensitivity and use it as social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