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공간에 적용 가능한 신소재 특성 및 기준에 관한 기초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1권 / 4호
ㆍ저자명 : 정선희, 서지은
ㆍ저자명 : 정선희, 서지은
목차
I. 서 론II. 주거공간디자인과 신소재
III. 주거공간에 적용 가능한 신소재의 기준 항목 및 특성
IV. 주거공간에 적용 가능한 신소재 기준 설정 및 평가
Ⅴ.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신소재의 개념 및 적용방향을 파악하고, 신소재의 물리적 기준과 신소재를 고려한 주거공간의 마감재 특성을 도출 한 후, 주거공간에 적용 가능한 신소재의 특성과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차별적이고 효과적인 주거공간디자인에 기초적인 자료가 되고자 한다.영어 초록
This study is a fundamental research which suggests some standards that can be used in selecting some advanced materials to be applied in housing space design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rom the study. First, it has been discovered that as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improved, the finishing materials emerged as an importantelement of housing spaces. It could also be seen that among the finishing materials used in housing spaces, there is recently a growing trend towards various environmentally-friendly advanced materials under the theme of ‘the nature’ and ‘health’. As a result, the need to investigate the standards of discriminatory and efficient housing space designs usingadvanced materials is on the increase. Second, through the literature and precedent studies, the physical criteria of advanced materials have been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new technology, new manufacturing methods, new materials, complementation and applicability. The main criteria of advanced finishing materials for housing spaces have beenclassified into four main categories: durability, functionality, economical efficiency and sensibility. By collecting and classifying some key words according to each of these four categories, the representative or combinable features have been extracted. By organizing the advanced materials’ physical criteria and their details, some standards based on the physical aspects have been suggested. The features of the finishing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advanced materials have been reclassified into the user-based criteria, environmental criteria and spatial criteria. Through this method, the criteria have been brought up from a new viewpoint, establishing the standards for the advanced materials applicable to housing spaces. Finally, after assessing the criteria by analyzing the advanced materials currently known to be applicable in housing spaces,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criteria can be used as the fundamental standards. As this study is based on investigating the literature and data, it may be less than reasonable to generalize from the limited number of examples. Hence, it shall be important to make a profound study of some detailed criteria by suggesting more objective standards and analyzing a greater variety of advanced materials.참고 자료
없음"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
- 전주한옥마을 주거건축 평면의 특징에 관한 연구10페이지
- 도시단독주택지 가로공간 계획을 위한 거주자 만족도 분석 연구9페이지
-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8페이지
-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의 운영 실태와 거주 후 평가10페이지
- 사례분석을 통한 임대아파트 실내 커뮤니티공간의 배치 및 이용실태11페이지
- 주거단지 배치계획을 위한 증강현실 기술의 활용방안에 관한 기초연구9페이지
- 중·장년층 기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양식에 관한 연구8페이지
- 서지학적 분석을 통한 임원경제지 섬용지 영조기사의 구성과 특징 연구11페이지
- 賃貸住宅의 內在的 特性에 關한 硏究8페이지
- 일본의 노인주거정책에 관한 연구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