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의 변화과정을 통해 본 일식주택 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19권 / 3호
ㆍ저자명 : 이소진, 김용범, 박용환
ㆍ저자명 : 이소진, 김용범, 박용환
목차
I. 서 론II. 조사개요
III. 조사대상주택과 거주자 일반현황
IV. 일식주택의 부엌 및 생활실태 변화
V. DK변화과정에 따른 주공간의 재구성
VI. 결 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식주택 부엌의 물리적 변화를 통해 주공간의 재구성 및 대응관계를 파악하고, 부엌의 기능적 변화를 통해서 생활형태가 변화되는 경향의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그 과정을 단발적인 조사결과가 아닌, 이미 조사 된 주택의 재조사를 통해 우리가 적응해온 일식주택의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인 관점으로 인식하고, 근대주거유형의 변화, 발전되는 현황을 하나의 흐름 또는 경향으로 보고자하는데 의의가 있다.영어 초록
When Korea opened its ports and underwent Japanese colonization, many Japanese style houses were built in Korea.Following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Koreans began to reside in these hou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Japanese style residence areas and Japanese style houses in Korea, and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characteristics of dining kitchens that have taken place since Koreans have lived in them. In the process, while assimilation occurred, there was also a conflict between the residential lifestyles of the two cultures, developing into a state where two housing cultures co-existed. The dining kitchens showed the most sensitive adjustments to social changes, facilitating a number of important changes in the process of modernizing houses. In this regard, the intention is to determine how the dining kitchens responded to other areas within the house as they were being transformed.Research for this study i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were carried out in 1991 on Japanese style houses, in order to clearly define the process of change chronologically rather than from a single examination. In consequently, From the process of changes where from a conventional kitchen to DK anger, 1) The public space - wooden floor, living room, etc- had been formed in house spaces. 2) In the lifestyle, privacy secured. It was separated each functional spaces that greeting space for guests and family’s space in the lifestyle. 3) The cause of variation could be summarized that differences of living style, a change of life and fuel.참고 자료
없음"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
- 그룹 홈과 공유주택 개념을 중심으로 본 Aging in Place를 위한 노인주거대안 개발을 위한 ..12페이지
- 전원생활에 대한 현대인의 욕구에 따른 펜션건축계획 연구10페이지
- 1960년~2007년 수도권 아파트단지의 공동생활공간 변화 과정10페이지
- 고층아파트 지붕형태의 변천과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11페이지
- 대전지역 공동주택의 분양 팜플렛에 나타난 계획 특성10페이지
- 중-노년층 여성의 실버타운 개발유형에 대한 태도분석10페이지
- 고령자용 소규모 그룹홈의 생활환경 실태9페이지
-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 스트레스10페이지
- 주거환경 만족도와 주거선택요소 중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8페이지
- 전통한옥의 도시집합주거로 발전 가능성 연구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