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공동주택의 분양 팜플렛에 나타난 계획 특성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19권 / 3호
ㆍ저자명 : 박정아, 강인호, 최병숙, 정미현, 장혜선
ㆍ저자명 : 박정아, 강인호, 최병숙, 정미현, 장혜선
목차
I. 서 론II. 문헌 고찰
III. 분석 대상 아파트의 일반 사항
IV. 아파트단지 단위의 계획요소 분석결과
V. 평면 단위의 계획요소(내용) 분석결과
VI. 요약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대전지역에 아파트를 공급하고자하는 입장에서, 분양에 초점을 맞춘 공간계획의 상품화전략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에서 최근 분양된 공동주택의 아파트를 중심으로 첫째, 분양시 모든 평형에 공통으로 적용된 단지, 주거동,공동생활공간, 인테리어의 계획적 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성과 경향을 파악한다. 둘째, 분양 평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단위주호 도면의 공간계획 내용 즉 방배치, 출입공간 구성, LDK공간, 안방, 부엌, 욕실, 제3의 공간을 중심으로 한 단위실의 공간계획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성과 경향을 파악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endencies i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community, single building, shared spaces and interior concept of apartment houses in Daejeon City, and to analyze the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partment unit floor plan based upon the arrangement of room, the type of main entrance, the type of LDK, anbang, kitchen, bathroom and the 3rd space. This study use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analysis was made on drawings and descriptions showing planning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houses. Above all, 34 cases of apartment houses and 159 unit plan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ion of housing development was the "well-being" concept including greenzone and natural environment.The most mentioned community spaces were children's playgrounds and parks. The emphasized interior concepts were noble, well-being and natural concepts. 2) The most prominent front arrangement type was the 3-bay unit plan, front space arrangement was focused on rooms and, livingroom. The most prominent front space arrangement types were R/L/R, R/L/R/R and there is a new tendency towards KD/L/R/R. 3) The most prominent LDK floor plans were of the LDK type. The type of “Anbang” arrangement consisted mainly of room-bathroom-dressing room. The type of public bathroom arrangement consisted mainly of bathtub-toilet-washbasin and the “Anbang” bathroom arrangement was showerbooth-toilet-washbasin.참고 자료
없음"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
- 그룹 홈과 공유주택 개념을 중심으로 본 Aging in Place를 위한 노인주거대안 개발을 위한 ..12페이지
- 전원생활에 대한 현대인의 욕구에 따른 펜션건축계획 연구10페이지
- 부엌의 변화과정을 통해 본 일식주택 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12페이지
- 1960년~2007년 수도권 아파트단지의 공동생활공간 변화 과정10페이지
- 고층아파트 지붕형태의 변천과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11페이지
- 중-노년층 여성의 실버타운 개발유형에 대한 태도분석10페이지
- 고령자용 소규모 그룹홈의 생활환경 실태9페이지
-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 스트레스10페이지
- 주거환경 만족도와 주거선택요소 중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8페이지
- 전통한옥의 도시집합주거로 발전 가능성 연구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