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19권 / 3호
ㆍ저자명 : 김현진, 안옥희
ㆍ저자명 : 김현진, 안옥희
목차
I. 서 론II. 연구 방법
III. 결과 및 분석
IV.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고령자는 노후에 시설주거보다는 살던 곳에서 그냥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면서 자기 집과 유사한 환경에서 계속 살기를 희망하며, 신체적 기능 저하에 따른 의료서비스와 가사서비스 등의 복지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 주거환경을 원한다. 따라서 기존의 시설주거유형이 아닌 고령자의 자립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주거 유형이 필요하다.이러한 시점에서 소규모 고령자 그룹홈은 종래의 시설중심에서 탈피하여 이제까지 살아오던 지역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고령자를 위한 주택과 지역 내의 각종 복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소규모 거주시설이라는 측면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고령자 그룹홈의 생활환경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실정에 맞는 고령자 그룹홈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한다.영어 초록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n the living environment of group-homes for the elderly and their living environment,4 group-homes were surveyed. As the results, conditions of location for the group-home of the elderly looked positive,on the other hand, safety for criminal prevention, accessability and convenient facilities were not on level satisfied.The average area of each space in the group-home indicated that the bed room was 11.21 m2, the living room 28.13 m2, the kitchen 23.59 m2, and the bath room had an integrated type of bath room and toilet 7.63 m2.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each space in the group-home were investigated, In bed room, door, windows and illumination were relatively good but safety was extremely inferior. Living room mostly looked good except the doorsill which needs refurbishment.In kitchen, cooking table, windows, illumination, ventilator were somewhat satisfactory but gas-warning device should have been installed. In addition, in bath room and toilet, location, door, window, illumination and finished material were satisfactory. But the stepped difference between the bath room and other space, safety-bar, emergency bell and floor heating system were seriously deteriorated and must be improved for the safety of the elderly. Conclusively, living environment of group-home for the elderly is mainly satisfactory but it was necessary to take a consideration for their safety.참고 자료
없음"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
- 그룹 홈과 공유주택 개념을 중심으로 본 Aging in Place를 위한 노인주거대안 개발을 위한 ..12페이지
- 전원생활에 대한 현대인의 욕구에 따른 펜션건축계획 연구10페이지
- 부엌의 변화과정을 통해 본 일식주택 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12페이지
- 1960년~2007년 수도권 아파트단지의 공동생활공간 변화 과정10페이지
- 고층아파트 지붕형태의 변천과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11페이지
- 대전지역 공동주택의 분양 팜플렛에 나타난 계획 특성10페이지
- 중-노년층 여성의 실버타운 개발유형에 대한 태도분석10페이지
-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 스트레스10페이지
- 주거환경 만족도와 주거선택요소 중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8페이지
- 전통한옥의 도시집합주거로 발전 가능성 연구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