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21세기사회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21세기사회복지연구 / 7권 / 1호
ㆍ저자명 : 배정연, 홍석자
ㆍ저자명 : 배정연, 홍석자
목차
Ⅰ. 서 론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여성들이 출산을 기피하는 이유를 파악하여, 기혼직장여성을 대상으로 향후 출산의도를 알아보고,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
으로써 여성관련 정책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직장생활을 병행하는 기혼여성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인·심리적 요인에 해당하는 남녀평등의식, 교육환경에
대한 부담감과 사회·제도적 요인에 해당하는 직장 내 보육정책지원 및 직장
내 조직의 분위기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기혼여성의 출산의도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63.1%가 출산의도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 중,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를 낳을 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심리적 요인으로서는
남녀평등의식이, 사회·제도적 측면에는 직장 내 육아보육정책과 조직분위기와
관련된 항목이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환경에
대한 부담감은 출산의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women try toavoid childbirth, survey married working women's intent of childbirth,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intent of childbirth to provide basic
resources on low birth rate and women-related policies.
For this purpose, 215 married working women to substantial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to clarify the influence of women's gender
equality awareness, burden of educational environment, childcare policies,
and employer resources on childbirth.
Married women's intent of childbirth was surveyed and 63.1% of them
showed no intent of childbirth. In result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married women's intent of childbirth, it was found that higher
income among all socio-demographical variables contributed to lower intent of
childbirth.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gender equality awareness, a
personal․psychological factor, and employer's childcare policies and resources,
a social․system factor, influenced their intent of childbirth. However, burden
of educational environmen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women's intent of
childbi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