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21세기사회복지학회
ㆍ수록지정보 : 21세기사회복지연구 / 7권 / 1호
ㆍ저자명 : 김궁자
ㆍ저자명 : 김궁자
목차
Ⅰ.서 론Ⅱ. 고령화와 노인자살의 현황
Ⅲ.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노인문제
Ⅳ. 노인자살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가족기능적 관점
Ⅴ. 가족기능에 대한 이해
Ⅵ. 선행연구
Ⅶ. 노인(장년)자살에 대한 우울·스트레스, 가족기능의 영향연구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년 및 노년기의 가족기능과 자살충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필자가 연구한 박사학위논문(김궁자, 2005)의 결과를 기초로 가
족 기능적 관점에서 노인자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기술하였다. 학위논문
의 연구결과에서 가족기능은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가족내적기능
의 문제해결, 의사소통, 가족역할, 정서적 반응, 정서적 관여, 행동통제, 가족
관계 기능의 7개요인 중 가족역할기능과 가족관계기능의 유의미함을 규명하
였다. 즉, 가족기능이 강화될수록 우울과 스트레스의 매개변인이 약화되고,
자살충동도 약화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노인자살의 감소와 예방을 위해서
는 전 가족구성원을 대상으로 중․장년기부터 자살요인을 발생시키지 않도
록 준비된 예방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제도적, 정책적, 실천적
뒷받침이 지속되어야 한다.
영어 초록
In order to prevent the elderly suicide increasing recently, it is necessary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family function of manhood & late
adulthood and suicidal impulse. This study was described to help one
understand the elderly suicide in the family functional perspective based on
the results of a doctoral dissertation of this writer(Kim, Gung-ja, 2005). In
the results of study for a doctoral thesis, this writer made a close inquiry
that the family function affected the suicidal impulse, and especially
clarified a meaningful effect on the family role function and family relation
function out of 7 factors in the functions such as the problem solution in
family intrinsic feature, communication, family role, emotional response,
emotional commitment, behavior control and family relation function. That
is to day, it may be fairly said that the more family function is reinforced,
the more the parameter variances of depression and stress became
weakened. In conclusion, in order to lessen and prevent the elderly suicide,
the prepared preventive education has to be performed so that the suicidal
factors may not occur from middle and manhood targeting the whole
family members, for which the institutional, political and practical support
continue being constructed.